[사이언스칼럼] 도파민 대방출의 시대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도파민 대방출의 시대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 승인 2024-06-27 17:31
  • 신문게재 2024-06-28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IT_윤석주 부소장님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10여년 전에 케이블TV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시리즈 중에 병영생활을 코믹하게 다루었던 '푸른거탑'을 기억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입체적인 캐릭터와 함께 군대 내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잘 엮어 화제가 되었다. 그 인기만큼 다양한 유행어를 배출했는데, 그중에 말년 최병장이 뭔가 당황스러운 상황을 맞이하게 될 때 입버릇처럼 중얼거리던 '전두엽'이 들어간 문장이 대표적이다. 당시 얄팍하지만 뇌과학에 대한 지식을 가진 필자가 봤을 때, 대뇌의 전두엽을 짜릿하게 자극하는 사건에 대한 묘사를 재밌게 표현하였다고 생각했다.

수년이 지난 후 이 전두엽을 자극하는 상황들이 일상생활에 만연해지고 있다. 최근 광고나 SNS를 보면 "도파민 터지는, 도파민 대폭발" 등등 도파민이란 단어가 정말 많이 등장한다. 신경계통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한 종류인 도파민은 다양한 작용을 하지만 특히 전두엽에서 문제해결, 감정, 추리, 주의집중, 기억, 의사결정과 충동제어 조절을 담당한다. 흔히들 전두엽의 활동은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도 한다, 이에 도파민의 적절한 분비와 적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파킨슨병의 경우 도파민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아 운동능력을 서서히 잃게 되기도 한다.

도파민 분비는 특정한 행동에 대해 즐거움으로 보상을 받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맛있는 음식, 성적 쾌락, 약물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해 도파민 분비로 보상을 받게 된다, 인간답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도파민 분비가 무슨 문제란 말인가? 정상적인 도파민 분비는 당연히 문제될 게 없다, 문제는 도파민 중독이다.

필자는 몇 주 전에 TV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입상한 가수들의 콘서트를 관람했다. 폭발적인 가창력과 현란한 무대 매너를 즐기며 2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 정도로 훌륭한 콘서트였다. 콘서트 중에 앞줄에 앉아 계신 중년의 여성 관객이 어찌나 호응을 잘하시는지 누가 봐도 콘서트의 매력에 푹 빠진 것 같았다. 그런데 공연 중에 어둠을 뚫고 나오는 휴대폰의 화면의 불빛이 계속 거슬려서 보니 아까 그 공연을 열심히 즐기시던 여성관객이 휴대폰으로 뭔가를 열심히 보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문자나 통화가 오는가 했는데 다시 보니 SNS의 숏폼 콘텐츠를 보고 있었다. 순간 약간의 혼란이 왔다. 이 화려하고 멋진 무대를 즐기면서도 숏폼 콘텐츠를 보지 않으면 안 되는 걸까? 또 길을 걷다 보면 주변의 상황을 전혀 신경쓰지 않고 휴대폰 화면만 보며 걸어다니는 사람들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지하철에서도 그렇고 다들 휴대폰 이외에는 아무 관심이 없어 보인다. 유튜브같이 10분 내외의 콘텐츠를 소비하던 것이 최근에는 더 짧게 1분 이내로 줄인 형태가 유행이다. 한번 숏폼을 보게 되면 한두 시간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수백 편의 자극적인 영상 시청으로 이어진다. 정말 도파민 대폭발이다.



숏폼 자체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축약된 형태로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새로운 형태이지만, 사용자가 숏폼에 중독된다는 것은 우리 뇌도 도파민에 절여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도파민 디톡스라는 말이 생길 정도다. 강제로라도 모바일기기를 분리해서 자극을 줄이고 뇌의 평안을 꾀하자는 것이다. 스마트기기가 출현하기 전에는 나름 책도 읽고 신문도 부스럭거리던 우리들이 몇십 초짜리 영상에 환호하고 잠들기 직전까지 눈을 떼지 못하는 것을 보면 안타까울 따름이다. 필요한 양 이상의 도파민은 우리를 둔감하게 만들고 더 강한 자극을 추구하게 하며 결국은 무기력하게 만든다.

최근에 멍때리기 대회가 성황리에 마쳤다는 기사를 보았다. 멍때리기 대회가 국제대회도 있다고 해서 과연 영어로 멍때리기가 뭘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space out competition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정신이 딴 데 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예전 같으면 멍때린다고 등짝을 한 대 맞았겠지만, 지금은 멍을 잘 때리면 상도 받고 뉴스에도 나온다. 바쁘고 정신없고 분주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려면 가끔은 멍을 때리는 순간이 필요할 것 같다. 도파민에 절여진 우리의 뇌를 어떻게 해야 좋을까? 방법은 어렵지 않다. 문명의 이기를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가끔은 스마트폰을 살짝 내려놓고 볕 좋은 벤치에 앉아서 눈을 감고 자연의 소리를 즐겨보는 건 어떨까?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부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CBS 13대 운영이사장에 김철민 목사 취임
  2. [현장취재]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 '따뜻한 동행! 윗동네·아랫동네 손잡고 함께하는 영화나들이'
  3. 대전 연고 e스포츠 구단 속속 늘어난다
  4. [현장을 찾아서]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정년퇴임식
  5. [날씨] 이번 주말 돌풍 동반 강한 비 내려
  1.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무산된 행정수도 재소환
  2. 산업인력공단 대전본부장에 신장호 취임 "지역 경제성장 마중물 최선"
  3. 폭염 대비 ‘저소득 어르신 건강한 여름나기’ 후원
  4. 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 원칙' 대학 구성원과 공유
  5. '세종시=행정수도' 거점, 세종동(S-1) 국가상징구역 미래는?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