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현기/팝 컬럼니스트 |
나훈아가 부른 잡초는 "이것저것 아무것도, 아무것도 가진 게 없다네"란 소절이 유난히 깊이 있게 다가와서 이 노래의 가사를 못 외우는 필자도 이 소절만큼은 기억하고 따라 부르기도 한다.
두 곡의 음악은 모두 가진 게 없어서 뜻한 것을 이루지 못하는 한탄과 절실함으로 가득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56년 오기선 신부에게서 얻은 밀가루 2포대로 대전역 앞에 천막을 치고 찐빵 장사를 시작한 이의 마음도 두 곡의 노래처럼 절실했을 것이다. 원가만큼 팔고 난 후에는 배고픈 사람들에게 허기를 달랠 수 있게 빵을 나누며 자신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으로 눈과 비바람에 흔들리는 천막을 지켰던 이가 오늘날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대전 성심당의 창업자이다.
그런 성심당이 요즘 다른 이슈로 유명세를 높이며 힘자랑을 하고 있다. 대전역사 안에 수수료 매장으로 입점한 성심당이 매출이 높으면 당연히 많이 내게 되는 판매수수료를 문제 삼으며 많이 팔아서 이익이 늘어난 것은 뒤로하고 판매대비 부과되는 판매수수료를 마치 공기업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여론몰이하고 있다.
공기업 코레일에서 역사에 입점한 모든 매장에 균등하게 부과하는 판매수수료를 성심당만 특혜를 달란 얘기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물론 입점 초에 "신규 입점매장 홍보"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예외 규정을 둘 수도 있을 것이고 그런 혜택 또한 입점한 매장에 균등하게 제공했을 것이다.
사기업인 성심당이 무슨 명분으로 모든 입점매장에 균등하게 적용하는 공기업의 임대시스템(판매수수료)을 흔들려고 하는가? 수지타산이 안 맞으면 다른 곳에 매장을 내면 될 것이다. 대기업 빵 사업보다 이익이 더 많다는 성심당을 문체부 장관은 왜 왔다 가고? 영세 자영업자들 걱정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할 대전시장은 왜 대체매장 찾기에 시간을 허비하는가? 성심당 힘자랑에 찬조 출연한 장관과 시장을 생각하면 기가 찰 노릇이다. 창업자의 유지를 받들며 사회에 기여를 해왔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우리 지역의 자부심으로 여기며 필자도 10년 넘게 연 300만원 이상 빵을 구매해서 타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 고객 중의 한 사람이라서 이번 성심당의 힘자랑과 오만함은 너무 당혹스럽다.
대전역 한 켠에 비좁고 허름하게 자리했던 천막에서 나눔의 꿈을 키웠던 이의 절실함으로 시작된 성심당이다. 톰 존스(Tom Jones)의 I Who Have Nothing보다 더 절박한 심정으로 천막을 지켰을 것이다. 그 성심당이 지금은 울퉁불퉁한 근육을 뽐내며 힘자랑하는 거인이 되어있다.
성현기/팝 컬럼니스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