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과민(過敏)사회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과민(過敏)사회

송복섭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승인 2024-06-24 10:09
  • 신문게재 2024-06-25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2023120401000190300005941
송복섭 교수
휴대폰은 자투리 시간 세상과 통하는 최적의 동반자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간이든 일정을 기다리는 시간이든 잠깐의 무료함을 때우기에 알맞으면서도 내가 살지 않는 다른 세상을 구경할 수 있는 신통한 창구가 되기도 한다. 신문을 구독하고 배달을 기다리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고, TV 수신기 앞에 자리 잡아 리모컨을 틀어쥐고 방송채널을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된다. 휴대폰은 그저 집어 들고 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 사람들이 가장 많이 관심 두는 기사들을 보여주는가 하면, 내가 평소에 좋아하던 주제들을 골라 맞춤형으로 소식을 전하기도 한다.

그렇게 세상을 힐끔거리다 보면 호기심을 자극하는 얘기들이 넘쳐난다. 연예인들의 사생활 얘기, 정치적 쏠림이 큰 기사들, 요동치는 주식시장, 나와 관계없음에도 내 일같이 느껴지는 부동산시장 동향들, 모두가 뿌리치기 힘든 관심거리다. 영락없이 광고가 달리고 읽는 순간부터 낚였다고 씁쓸해하면서도 거절 못 하다가 선한 공감과 의협심을 불러일으키는 기사에는 허무가 참여로 바뀌는 경험을 하게 된다. 미담을 전하는 얘기가 그렇고 공익을 위한 고발 기사가 그렇다. 그중 하나가 내 눈길을 잡아끌었다.

배달기사가 음식을 배달한 후, '맛있게 드시고 또 주문해주세요?'라는 문자를 남겼는데 문장의 끝에 남긴 물음표가 화근이었다. 문장을 맺으며 웃는 이모티콘을 보냈다는데 갤럭시폰의 이모티콘이 아이폰에서 물음표로 둔갑한 것이다. 주문한 사람은 환불을 요구하며 평점 테러를 가했고, 가게 사장이 자초지종을 설명했는데도 막무가내였다는 사연이다. 호환이 안 되는 시스템 문제로 "아! 그랬군요."라고 웃고 넘어갈 사안이라고 생각할 법한데,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어쨌든 기분이 나쁘니 소비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맘껏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뭐가 그리 이 사람을 이토록 화나게 했을까?

이와 비슷한 사연은 자주 목격된다. 손님이 바닥에 버린 술을 닦았다고 기분이 상했다며 가게를 망하게 하겠다고 윽박지르질 않나, 옆자리 손님 가방에 자녀가 음식물을 쏟는 실수를 범하자 고가의 가방을 사내라고 억지를 부리질 않나……. 급기야는 진상손님에 대처하는 법까지 공유하는 사이트가 운영될 정도다. 음식점에서의 사연은 너무 많아 식상한 정도인데, 이런 일들은 사회 전반으로 만연하는 듯하다. 학교에서의 생활지도를 자녀 말만 듣고 학교폭력으로 선생님을 몰아세워 죽음으로까지 내모는 일도 일어났다. 모든 사건에는 그에 이르는 사정과 정황이 있기 마련인데 사람들은 너무 쉽게 흥분하고 공분을 쏟아낸다. 여기에 언론은 '알 권리'라는 이름으로 자극적 기사를 쏟아내며 수익성 광고를 곁들인다.



이런 현실은 소위 공인에 속하는 사람들에겐 치명적이다. 사실이야 어찌 됐든 간에 자극적 기사들로 부정적 이미지가 쌓여 국민적 밉상으로 찍힌다. 시간이 지나면 사건에 관한 관심이야 시들해지게 마련이지만 한번 만들어진 부정적 이미지는 쉽게 씻어내기 어렵다. 그래서 상대를 적으로 삼아 무너뜨리려 혈안이 되어 공격에 열을 올린다. 싸움은 더 격화하고 '악플보다 더 무서운 게 무플'이라고 사회는 점점 더 싸움 구경을 위해 이런 상황을 심화하고 고도화한다. 그저 대상으로 지목받아 공공의 적으로 낙인찍히지 않게 몸을 사릴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공격의 상대가 내가 될 수도 있음을 잊어선 안 된다. 그리고 왜 세상이 이리되었는지 원인을 숙고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과도한 경쟁 속에서 승자가 독식하고 패자는 낙오하는 무서운 사회를 경계해야 한다. 국가가 국민 개개인의 삶을 지켜주지 못하고 각자도생으로 내몰 때 살아남기 위해 개인은 과민해지고 신경증으로 별거 아닌 시비에 몰두한다. 정치와 언론은 사소한 싸움을 부채질하여 이득을 꾀하는 일을 멈춰야 한다. 국민은 영부인의 명품백과 기내식에 관심이 없다. 그저 살림살이가 나아지고 세상이 평안하길 바랄 뿐이다. 사회가 너무 과민해 있다.

/송복섭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