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전유성과학특구 전국오픈 탁구대회] '이번 대회 우승은 모두 우리 것'

  • 스포츠
  • 생활체육

[2024 대전유성과학특구 전국오픈 탁구대회] '이번 대회 우승은 모두 우리 것'

  • 승인 2024-06-24 10:10
  • 신문게재 2024-06-25 10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KakaoTalk_20240624_014428583
서울, 경기, 인천 일대에서 모인 탁구 소모임 '위드' 팀.(사진=심효준 기자)
"오로지 탁구를 즐기기 위해 시작한 모임이 여기까지 왔어요. 탁구라는 스포츠에 한 번 빠지면 절대 헤어나올 수 없어요."

대전 유성구체육회와 유성구탁구협회가 주최·주관한 '2024 대전유성과학특구 전국오픈 탁구대회' 전국오픈부에 참가한 '위드' 팀은 서울·인천·경기 일대의 여성 탁구동호인들이 모인 20명 규모의 탁구 소모임이다. 매주 정기적으로 모여 탁구를 즐기는 그들은 어느덧 높이 쌓아 올린 기량을 뽐내기 위해 이제 전국 오픈대회를 누비고 있다.

20년 경력의 탁구 매니아 위드 성미옥(58·여) 감독은 "아이를 출산한 후 건강을 위해 탁구를 시작한 지 어느새 20년이 훌쩍 흘렀다"라며 "그 사이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을 획득했고 고등학교에서 탁구지도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제 탁구는 제 인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스포츠다"라고 말했다.

이어 "위드 소모임은 서로 부족한 부분을 함께 보완하고 실력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최고의 팀이라고 자부한다"며 "이번 대회 좋은 성적을 내고 멋지게 집으로 복귀할 예정"이라고 다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으로 주말 꽃 나들이 오세요
  2. 세종시 나성동 숙박시설 공급 본격화… 최대 700실 예고
  3. 종촌복지관-도담동, '웃기는 경매'로 이색적 나눔 시작
  4. 6·25전투 중 대전전투 재조명… "희생과 헌신 기억할 교육·시설 필요"
  5.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1. 제74주기 대전 산내골령골 피해자 합동위령제 개최
  2. 답보상태 '유보통합', 드디어 밑그림 나왔다
  3. '글로컬 본지정 향해' 건양대 K-국방산업 대전환 포럼… 지자체 등 업무협약도
  4. 세종시, 감염병 전문가 토크 콘서트 개최
  5. 한국영상대, 'KUMA영상캠프' 교육생 모집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