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희망하지만 임금 수준 등 원하는 일자리를 못 찾을 것 같아 취업을 접은 '구직 단념' 청년들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8525명보다 1만1000여명 증가했다. 전체 구직단념자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로 10명 중 3명 꼴이다. '쉬었음'이나 '구직 단념자'로 분류된 청년층이 50만명을 훌쩍 넘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집에서 쉬거나 구직을 포기한 청년층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지난달 청년층 실업률은 전년 동월 대비 0.9%포인트 오른 6.7%로 전체 실업률 3.0%의 두 배를 넘었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내놨지만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 집중된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지난해 설문조사 결과(복수 응답)에 따르면 대학생이 취업을 원하는 업체는 대기업 64%, 공공부문 44%인데 중소기업은 16%에 불과했다.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 없이 고용지표 개선은 어렵다. 청년 일자리는 저출산 문제와 수도권 집중 현상과도 맞물려 있다. 대기업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고, 임금·복지 수준이 높은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등 청년 일자리 문제에 우선 순위를 두는 특단의 정책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