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
한편 대전의 경우, 합계출산율이 0.79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 어려운 상황에 있기는 크게 다르지 않다. 얼마 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에 따르면, 2022년 147만 명이던 대전 인구는 2052년 125만 명으로 22만 명(-15.1%) 감소하고, 중위연령 또한 43세에서 56.4세로 13.4세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107만 명에서 67만 명으로 감소(-37.6%)하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3만 명에서 47만 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107.2%)해 인구 고령화 문제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변모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저출생, 고령화 추세에 따른 인구감소 문제가 본격화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의 정주여건 개선이 필수적인 과제로 떠올랐다. 사람들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와 교육, 경제, 문화, 교통 등 편리하고 풍요로운 생활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지역 소멸을 막고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교육발전특구, 기회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대한민국 문화특구 등 이른바 4대 특구를 중심으로 한 지역 균형발전 정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지자체, 교육청, 대학, 산업체 등 지역의 주체가 지역의 공교육 발전을 위해 협력하고, 지역 우수인재 양성에서 정주까지 집중 지원하자는 취지로 추진하는 것이 교육발전특구다.
올해 초 대전은 체계적인 준비 끝에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선정됐으며, 현재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에서 교육받은 인재가 지역대학에 진학하고 취·창업해 지역에서 정주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주도의 맞춤형 교육개혁과 우수한 학교를 육성하며, 지역의 우수 인재를 지역대학으로 유입함으로써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 방지는 물론 이들을 통해 지역혁신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교육발전특구의 취지를 달성하고,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초중고, 대학, 산업체 간 긴밀한 연계와 협력은 필수적인 요소다.
교육발전특구 추진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는 대전시, 교육청, 대학, 산업체 등을 들 수 있다.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대전시와 교육청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제도·정책 수립 및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행·재정 지원을 담당하고, 대학은 지역교육 및 산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면서 선취업 후진학 및 취업·진로 지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산업체는 산학겸임교사 지원, 현장실습 및 일자리 창출 등을 담당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대전 교육발전특구의 체계적인 추진 및 정착을 위해 각 주체가 함께 참여하며 협업하는 지역협력 거버넌스의 구성과 운영이 안정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지역의 주요 주체들 간에 긴밀한 연계·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교육생태계가 만들어질 때, 그리고 지역 발전전략과 산업특성에 기반한 인재양성 플랫폼으로써 교육발전특구가 성공적으로 조성될 때 비로소 지역 특성에 맞는 우수 인재가 교육받고 성장해서 지역에서 취·창업하고 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교육발전특구 선정이라는 것이 결정적이지는 않겠지만, 이번 기회를 계기로 삼아 우리 대전도 지역 인재양성과 지역발전의 선순환 체계를 만들고, 더욱 활기차고 많은 사람이 머무르며 어우러지는 지속 가능한 도시가 되길 간절히 기대해 본다. /정철호 목원대 산학협력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