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성장론'과도 직결되는 관광과 축제는 제시된 것처럼 가치, 감성, 스토리를 구매하는 욕구와 연관이 깊다. 이 점에 착안하면서 관광 목적지로서의 장소성과 위상을 강화하면 된다. 지역경제에 도움 되는 대전형 관광산업은 탁월한 연관산업 효과까지 낳는 고부가가치 산업을 의미하는 것일수록 좋다. 특정 명소 일색, 맥락 없는 먹거리 중심으로 변질해선 안 된다.
대전 빵축제나 칼국수축제처럼 음식 소재 축제가 아니어도 축제와 음식의 결합은 물론 빼놓지 못할 부분이다. 하동 녹차한끼, 춘천 마임맥주, 담양 죽순 회무침 등은 지역축제로 명성을 얻은 특화메뉴다. 식품기업과 협업을 통한 선순환 구조가 가능한 지점이기도 하다. 다만 본질적으로 관광이 문화에 대한 소비라는 견해에 동의한다면 관광 생태계는 바로 콘텐츠의 승부다. 노잼도시 담론에서 벗어나려면 관광객 수에만 목매는 양적 팽창 정책은 종말을 고해야 하는지도 모른다.
한국이 여행 적자국인 주된 이유 또한 지역관광을 육성하지 못해서다. 정부가 더 반성할 점이다. 중도일보 창간 73주년과 대전상의 창립 92주년을 기념하는 경제세미나에는 선호도와 재방문 의향을 높이고 유잼도시, 꿀잼도시로 가는 방안이 들어 있다. 모든 지자체에 영감을 주고 특히 대전 0시축제를 문화, 관광, 축제가 조화된 문화관광축제(Cultural Tourism Festival)로 치러야 할 대전시에도 유용한 발제와 토론이었다. 빵 사기 위해 거쳐 가는 도시 아닌 머무는 도시, 다양한 '매력 거점'이 필요하다는 답을 얻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