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후위기시대 대전교육 현주소(총괄)
2. 생태체험의 장 우포늪과 경남교육청
3. 전국서 찾는 충북교육청 환경교육센터
4. 지속가능발전교육 지향하는 핀란드 헬싱키
5. 빛나는 민관합작, 생태전환교육 선진국 런던
6. 대전교육청 생태전환교육 이대론 안된다
7. 대전교육청 환경교육센터 설립 제안
2020년 7월 9일 부여에서 진행된 전국시도교육감회의회서 전국 교육감들이 기후위기·환경재난시대 학교환경교육 비상선언을 진행하고 있다. 중도일보DB |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7월 9일 전국 17개 시·도교육감은 기후위기·환경재난 시대를 맞아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비상선언을 발표했다. 눈앞에 닥친 기후위기에 대응해 학교 교육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그로부터 4년여가 흘렀다. 교육현장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시·도교육감이 일제히 선언하고 같이 다짐했지만 전국 시도교육청의 학교환경교육 실천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월등히 앞서나가는 시도교육청이 있는가 하면 내내 제자리걸음인 교육청도 있다. 기후위기 속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달라진 것은 없는 대전교육청은 후자에 가깝다.
2021년 9월 '교육기본법'에 생태전환교육 의무화 조항이 신설됐다. 2024년부터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에게 적용된 2022 개정 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한 미래 대응을 위해 생태전환교육을 강화한 내용이 담겼다. 현재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선 범교과 연계 생태전환교육을 6시간 이상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이뿐이다. 대전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기본계획에 눈에 띄는 정책은 보이지 않는다. 대전교육청 자체 사업으로 학교 안 생태전환교육 체험장을 구축하는 '초록꿈마당'을 제외하면 전국 시도교육청의 기본계획과 별반 차이가 없거나 뒤처진 수준이다.
2023년 생태전환교육에 참여한 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대전 지역사회자원 활용 생태전환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교육청이 추진 중인 생태전환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교사는 응답자의 절반(잘 알고 있음 32.34%·매우 잘 알고 있음 18.72%)에 불과했다.
부족한 정책과 인프라 속에서 그동안 단위학교의 요청에 따라 생태전환교육을 지원하던 대전시환경교육센터도 2024년부터 문을 닫았다. 정부가 국비를 편성하지 않자 대전시도 시비를 전액 삭감하면서다. 타 지자체가 자체 예산을 수립해 시민과 학생을 지원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대전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생태전환교육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충북교육청 환경교육센터 약속나무에 학생들이 적은 다짐 나뭇잎이 붙어 있다. 임효인 기자 |
지구 반대편 핀란드 헬싱키에선 자연에서 뛰노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었다. 교실 밖에서 펼쳐지는 수업에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토대로 생태전환교육이 이뤄졌다. 핀란드에서 만난 여러 전문가들은 지속가능개발교육을 중심에 둔 다양한 연구와 고민을 하고 있었다. 영국 런던은 민(民)과 관(官)이 조화를 이루며 생태전환교육 강국의 면모를 뽐냈다. 런던 중심에 위치한 런던습지센터는 학교와 개인 모두에게 생태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원은 자연과 가까운 모습으로 교육에 활용됐다.
야외 수업 중인 헬싱키 학생들. 임효인 기자 |
런던습지센터(WWT) 연못에서 놀고 있는 백조들. 임효인 기자 |
그렇다면 앞으로 대전교육청은 무엇을 해야 할까. 중도일보는 기후위기에 직면한 2024년 6월 여름의 문턱에서 대전의 미래세대를 향한 교육청 수준의 환경교육센터 설립을 제안하려 한다. 미래 세대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연구, 교사 연수,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네트워크 활성 등을 기대하며 더 늦기 전에 시스템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대전교육이 생태전환교육과 보다 가까워지길 바라며 앞으로 6차례에 걸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본다. 임효인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