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NGO센터와 대전충남인권연대 회원들이 15일 경남 거창사건 역사탐방에서 박산골 희생장소를 견학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이날 역사투어는 지리산과 덕유산에 둘러싸인 지형의 거창읍에서 11사단 9연대 주에서 민간인학살에 앞장선 3대대의 부대 이동 경로를 쫓아 '함께하는거창' 신용균 대표의 안내 속에 청연마을과 탄량골, 박산골 순으로 이뤄졌다. 6개 마을 84명의 주민이 학살된 청연마을 희생자 묘역에는 두 돌 지나지 않은 아이부터 초등학교 입학 앞뒀을 나이의 어린이 묘비가 말없이 추모객을 맞았다. 이어 방문한 옛 신원국민학교와 이곳으로부터 500m 떨어진 박산골은 주민 1000여 명을 밤사이 감금하고 다음 날 아침 주민 517명에 대한 학살이 이뤄진 곳으로 박산골짜기 바위는 총탄에 맞아 움푹 팬 모습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때 희생된 이들을 합장한 박산합동묘역에 유족들이 1960년 세운 위령비를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1961년 경찰이 지켜보는 가운데 유족들의 손으로 글귀를 훼손하고 땅속에 다시 묻었다가 1988년에서야 다시 꺼낸 역사를 그때 훼손된 위령비를 뉘어 전시함으로써 재현했다.
경남 거창군에 위치한 거창사건 역사교육관에 당시를 재현한 전시물 모습. (사진=임병안 기자) |
전숙자 대전산내사건 희생자유족회장은 "가장 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사건임에도 거창사건처럼 명예를 회복하고 진상조사할 특별법 제정이 산내사건에서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지적하고 "그 중에서 대전형무소 희생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이 서둘러 이뤄지고 위령시설 다른 지역 사례에 대한 견학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경남 거창=임병안 기자 victorylba@
경남 거창군 신원면 일원에 거창사건 추모공원과 역사교육관이 조성되어 있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