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사진=연합뉴스) |
미 연준은 12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현재 수준(5.25~5.50%)으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하고, 당분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단 의지를 밝혔다. 기준금리 동결의 이유는 이번에도 인플레이션 우려였다. 올해 말 금리 수준은 5.1%로 예측했으며,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은 3회에서 1회로 대폭 줄였다. 다만 향후 전망에 대해선 비교적 낙관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연준은 성명서를 통해 "인플레이션은 지난 1년간 완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최근 몇 달 동안 목표치(2%)를 향한 완만한 추가적인 완만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국내 경제·금융수장들은 고금리 지속·인하 기대가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경계심을 갖고 더욱 신중론을 펼치겠단 각오를 밝히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13일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 경제·금융당국 수장들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에 대한 후속 대응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으며,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통해 향후 시장 위험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미국과 한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시점이 더욱 불투명해지면서 시장의 변동성도 함께 커지는 모양새다. 최근 불안감이 엄습했던 미국증시 S&P500 지수(5421.03)와 나스닥 지수(1만 7608.44)는 미 연준의 발표 이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2700선에서 횡보를 거듭하던 코스피도 이날 2762.98까지 상승한 채로 마감하면서다.
고금리 기조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 마감한 것인데, 이처럼 주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단 점은 지역 경제 성장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고금리 기조는 내수 부진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데다, 특히 충청권 상장법인의 경우 최근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하면서 등락을 반복하다 결국 시가총액(5월 기준)이 전달대비 14조 1616억 원(8.9%)이나 감소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주가 상승 이후 급락에 대한 위험성이 함께 커질 수 있는 만큼, 불안정한 증시 상황은 신규 상장을 노리는 기업이나 기존 상장사들의 성장에 위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대전의 중기·상장사들의 근심을 키우고 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처럼 대전의 신규 상장사들이 늘고 있는 시점에서 증시의 혼조세는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며 "한은의 고금리가 지속할수록 지역 기업들의 자금 부담도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