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브로회'는 보문미술대전에서 초대작가로 배출된 약200여 명이 활동하는 미술단체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화, 서양화, 문인화, 판화,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명예작가를 포함해 78명의 작가들이 참여해 수준 높은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강동구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저희 시나브로 회원들은 제13회 정기전의 주제를 '畵&和'로 정하여 전시를 열게되었습니다. 항상 화목한 모습으로 함께하시는 회원들의 모습을 보면서 다시 한번 고마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바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묵묵히 전시에 함께 해주신 회원님들과 명예 작가님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라고 인사하였다.
시나브로회는 2012년 30명으로 구성된 멤버들의 창립전을 시작으로 매년 정기전을 열고 있는데 올해로 13회째를 맞고 있다.
여기에 전시된 작품들 모두를 자랑할 수가 없다. 아쉽지만 이날 필자에게 작품을 소개한 몇 분들의 작품을 자랑해보자.
첫 번째 작품 김정수 작가의 '봄을 캐다'.
세 명의 여인들이 돌하루방이 지켜보는 들에 나가 봄나물을 캐는 모습을 그렸다.
시인 이석기님은 '봄을 캐는 여인'이란 제목의 시에서 '길섶에서 파릇파릇 / 냉이를 캐는 두 여심을 본다//그 정경이 어이 그리 포근한지 / 심술퉁이 바람쯤은 아랑곳없이//부지런하게 손을 움직이는 / 모습은 전형적인 한국의 여인상이다//알뜰한 두 여심에 / 바구니에 차곡차곡 담겨진 냉이//오늘 저녁에 / 된장과 궁합이 알맞게 되어/ 상큼한 냉이 국으로 변신하여서 / 식탁에 오를 때에//풋풋한 봄맛을 식솔들에게 / 느껴주면서 한없는 / 현모양처임을 느끼리라//싱싱한 봄을 캐는 두 여인의 모습에서 / 신선한 정과 사랑을 느낀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무공 김정수는 필자와 술 친구다. 술을 마시되 취하도록 마신다. 그런 무공에게 저런 서정적인 소재가 떠오르다니. 참으로 김정수 화백의 내면에 잠재돼 있는 그림 세계를 알 수가 없다. 무공 얘기는 여기서 그치자. 공연히 아는 체 했다가는 술 먹자는 전화마저 끊기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김정수 화백의 '봄을 캐다' |
서 작가의 그림은 어느 작품을 보아도 깨끗하고 정갈하다. 더구나 이번에는 '홍매'를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홍매화 꽃말은 '정조', '결백', '고결한 마음'이라 한다.
서 작가가 이번에 내놓은 '홍매'는 이 세 가지 꽃말을 모두 내포하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그런지 서 작가는 술좌석에서도 고결한 마음을 그대로 보이고 있다.
작품 속에 보이는 홍매화는 가늘고 강한 가지에 붉은 꽃망울을 그려, 겨울이라는 계절을 잊게 만들 정도로 생기 넘치게 표현 하였다. 매화꽃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널리 볼 수 있는 봄꽃으로, 특히 한겨울에 눈을 맞으면서 피는 매화는 '설중매'라고 따로 불리기도 한다. "서 화백님 제가 잘못 표현하고 있지는 않는지요?"
서정목 작가의 '홍매' |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Rainy Days Never Stay)'는 한국에서 제작된 김현성 감독의 2008년 영화이다. 김현영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박남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서예가 박성미님은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얼마나 많은 시련을 겪었고, 또한 주위에서 그런 분들을 보며 살아왔을까?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는 말처럼 우리는 살아오면서 수많은 상처를 받으며 살고있다.
박성미님이 살아오는 동안도 많은 비와 바람이 다가왔을 것이다. 때로는 비바람에 가지가 꺾어지듯이 아파할 때도 있었을 것이고, 그 아픔으로 인해 박 작가는 더욱 강해졌을 것이다. 그 외모를 보라.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함이 잠재된 모습을.
박 작가의 작품해설은 예서 그치자. 필자의 졸필로 어찌 그가 살아온 역경을 이루 표현 할수 없기 때문이다.
박성미 작가의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 |
그림으로 볼 때 이태리의 남부지방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태리 남부지방은 비가 자주 내린다. 그래서 이 화백이 이곳을 찾았을 때도 비가 내려 골목마다 물로 가득찼던 것이다. 우리 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치수 사업이 되지 않은 나라 이태리였던 것이다. 신기해서 카메라에 담고 그것을 화폭에 옮겨 이번에 전시하게 되었다 한다.
그러나 이태리는 오래된 도시가 많아 유적도 예서제서 볼 수가 있다. 그래서 이태리 여행을 가본 사람들은 친지들의 멱살을 잡고서도 데리고 가려고 한다. 어떻습니까? 이 화백님. 친구로부터 멱살을 잡혀가신 것은 아닌지요?
예서 그치자. 해외(海外-바다 건너)여행이라곤 울릉도가 고작인 필자가 예서 더 아는 척했다가는 무식이 뾰록 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이덕주 화백의 '여행' |
이효순 화백은 무형문화재 이정오님에게 사사를 받는다 했다. 그래서 그런지 멀리서 봐도 이 화백의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단청에는 궁궐단청, 사찰단청, 능원단청, 사묘단청, 서원단청, 관아단청 등이 있다 하는데 이 화백을 사사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이정오님은 모든 분야의 단청을 그려 무형문화재 지정을 받은 분이다. 그래서 이 화백이 이번에 내놓은 작품도 그 가운데 하나인 '사찰단청'을 그렸던 것이다.
생각해 보라.
한국의 고풍스런 아름다운 멋을 지닌 이효순 화백이 정성을 다해 단청을 그리고 있는 모습을.
이효순 화백의 단청 그림을 통해 옛날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이 현대와 어우러지는 모습을 직접 보고 느끼며, 앞으로도 무형문화재 이정오님과 그 제자 이효순 화백의 다양한 한국 문화유산을 그림으로써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효순 작가의 '단청' |
김정수 화백을 비롯해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친구들이여!
살아온 세월은 주마등처럼 스치고 지나 가지만 우리 작가들은 할 일이 많다. 잡은 손 놓지말자. 필자도 그대들 곁에서 잡은 손 놓지 않으리라.
김용복/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