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욱 대전고 교사 |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어. 코로나 이후 변해버린 고등학교의 밤 풍경을. 예전같으면 밤늦게까지 학교에 선생님과 학생들이 남아 있다가 10시면 우르르 교문을 나서는 밤 풍경, 이제는 보기 힘들다는 것 잘 알아. 그런데 말이야, 아직 대전고는 그렇더라고. 여전하다는 말이 적절하겠네. 아이들이 학교를 믿어 학교에 있어, 그 밤에도. 방과후 수업에도 대부분의 아이들이 남아 있고 밤 10시까지 학교가 환해. 불야성이라고 말하면 믿을까? 네가 직접 봐야 알 텐데. 문제집만 잡고 계속 푸는 게 공부는 아닌 거 나도 알지. 그래서 대전고라는 학교 공간도 아이들도 바뀌어 있더라고. 늦은 시각 아기자기한 공간 안에 아이들이 삼삼오오 있어. 논문이랑 공식을 화면에 띄우고 이야기하는데 사실 나는 내용은 모르니까 그 내용을 말하긴 어렵지. 다만 공부할 거리를 스스로 찾아 함께 한다는 즐거움이, 눈빛이 담겨 있는 건 아이들의 표정을 보니 알겠더라고.
밤늦게까지 힘들지 않냐고? 힘들지. 안 힘들다고 하면 거짓말일 거야. 그런데 사람과 사람의 틈 사이에서 오는 희열이 여긴 아직 있더라고. 너도 잘 알 거야. 휴일에 거실에 가족끼리 앉아 있으면 누군가는 휴대폰 속 세상에서 살고 있으면서 몸 한 편만 가족 곁에 뻗어놓고 있다는 거. 가장 가깝다는 가족들도 이제는 서로의 눈을 깊게 보며 이야기하고 살 부딪히며 서로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내밀하게 대화로 나누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 잘 알잖아? 그런데 여기 대전고에는 휴대폰이 없더라. 진짜야. 그렇더라고. 4무 운동이라고 부르더라. 휴대폰, 자는 학생, 담배, 학교폭력 이 네 가지가 없다더라. 아니, 아침에 휴대폰을 담임 선생님이 걷는 게 아니야. 그냥 없어. 가져오질 않는 거야. 그러니 아침 풍경이 다르더라고. 교문을 지날 때 아이들과 선생님이 인사로 시작해. 거기서 틈이 생겨. 웃으며 눈을 마주할 수 있는 그 틈이.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이 제일 신기해. 휴대폰이 없는 남자 아이들이 뭘 할까 생각해봤어? 그 틈은 대화와 사람이 메우더라고. 함께 공을 차고, 대화하고, 책 읽고, 산책하고, 그냥 돌아다니기도 하고. 작은 화면 하나가 사라지면 그 자리를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 메우더라고.
진짜 안 자냐고? 졸린 애들이 왜 없겠어? 고등학생이잖아. 그런데 듣더라. 그게 제일 좋았어. 사실 교사로서 가장 힘든 순간은 내 수업을 아이들이 벽처럼 밀어낼 때잖아. 대전고는 벽이 아니더라고. 듣고 질문하고 말하고 웃더라고. 오랜만이었어. 교실을 나서면서 내가 가르치는 중이라고, 참 보람차다고 느끼는 경험, 꽤 오랜만이었어. 아이들이 참아주는 것 아니냐고? 그래, 어쩌면 그럴 수도 있겠다. 내 수업이 일타 '인강' 강사처럼 화려하고 재밌지는 않을 테니까. 하지만 배움이란 건 어쩌면 스며드는 일일 것 같아. 아이들이 내게 스며들고 나도 아이들에게 스며드는 걸 테니까.
아! 그러고 보니 생각난다. 우리 학년 모 담임 선생님이 "부장님도 대며들고 계시군요"라고 말했어. '대며들다'가 뭐냐면 '대전고에 스며든다'는 거야. 내가 보기에는 스며들어서 점점 물드는 것 같아. 동화(同化)랑은 달라. 논어에 나오는 '화이부동(和而不同)' 알잖아. 완벽히 똑같지는 않고 자신만의 색깔은 있지만 서로 다르지 않은, 함께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끈끈한 공동체 말야. 여긴 그게 아직 있더라고. 입학식에서 울려 퍼지는 재학생들의 관현악 합주의 웅장함이 심장을 요동치게 하기도 하고, 팔순 넘으신 어르신들이 대전고 선배라고 오셔서 힘내라는 말을 나지막이 전할 때 찌르하게 나도 여기서 함께 숨쉬는 사람이라고 느껴. 적어도 이것저것 재는 것보다 지금, 여기에서 보람을 느낀다면 가치 있는 삶이 아닐까? 너도 한 번 와보면 알 거야. 아직도 여전히 그런 학교가 있다는 거. 그게 대전고라는 거 말야. 김영욱 대전고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