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충북 괴산에서 발생한 규모 4.1 지진으로 괴산군 장연면 장암리 한 주택 담벼락이 갈라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사진= 연합뉴스) |
그동안 충청권도 매년 지진이 발생했으며,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지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규모 2.0 이상 지진은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에서만 4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미만 지진은 64회 발생했다. 서해 해역에서는 규모 2.0 이상 지진은 20회, 규모 2.0 미만은 85회로 집계됐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지진 발생 횟수는 대전·세종·충남은 2.6회, 충북은 1.4회로 조사됐다. 서해는 13회였는데, 남해, 동해와 비교했을 때 가장 많았다.
실제로 2023년 10월 25일 충남 공주에서는 규모 3.4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2022년 10월 29일 충북 괴산에서도 진도 4.1 지진이 일어나기도 했다. 당시 진앙지 주변에서는 진도 5등급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이로 인해 괴산의 주택 2곳에서 지붕이 파손되고 건물 3곳 외벽에 균열이 발생했다. 충북에서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충청권도 더이상 지진에 안전하지 않다는 얘기다.
12일 오전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해 대전·세종·충남·충북에서도 진도 3의 지진이 감지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전북 부안군 지진 초동 분석 결과, 함열 단층이나 유사한 방향으로 발달한 다른 단층에서 지진이 비롯됐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함열 단층은 충남 부여에서 전북 부안 변산반도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층으로,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향 이동 단층이다. 향후 충청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셈이다.
현재 지질 학계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 최대규모를 '6.5~7.0'으로 보고 있다. 규모 7.0 지진이면 기상청이 지진 계기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강했던 지진인 2016년 9월 경주 지진(규모 5.8)보다 위력이 63배 강하다.
그동안 지진 대비책으로 건물 내진 설계 강화 필요성이 강조됐다. 최근에는 '지진 대피'만 교육할 것이 아닌 '지진 대비'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지진으로 인해 인명피해를 입는 경우는 진동으로 가구들이 넘어져서 겪는 피해가 많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 지진 대비 교육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퀴가 달린 책상의 고정을 위해 스토퍼를 설치하는 등 생활 속에서 대비할 수 있는 것들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의 경우 지진이 일어나기 15~30초 전 지진 알림 문자를 보내는데, 우리나라는 지진이 발생한 후에 안내해 선진국 기술 도입, 국내 기술 개발 등 기술력 투자를 많이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지난 포항 지진 원인이 자연재난이 아닌 지열발전소 건설 때문이라고 판명이 났던 만큼 정부나 지자체의 개발 과정에서도 지진에 영향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전북 부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최강으로, 내륙에서 발생하기는 2018년 2월 11일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4㎞ 지역에서 규모 4.6 지진이 발생하고 6년여 만이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