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기의 확연한 차이는 연차(年次)에만 있지 않다. 대선과 지방선거를 거치며 보수로 탈바꿈한 정치지형이 총선을 거치며 바뀌었다. 그러나 지역 현안은 크게 달라질 게 없다. 2년 전 시작점에서 그런 것처럼 새롭게 발전지향적으로 변화하면 된다. 그 대신, 정례화된 협치로 각종 사업이나 현안을 조율하는 상생의 정책 생태계 형성은 긴요한 과제가 됐다. 광역·기초단체 간에는 대전시와 자치구 단체장 및 부단체장 정책협의회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후반기에는 '시·구 한마음 상생발전 업무협약'의 정신을 살려 더 긴밀히 가동해야 한다.
2년 전을 돌이켜보면 '지방 실종'으로 대선 연장전처럼 경황없이 치른 지방선거였다. 지역 정책은 보다 정밀하게 가다듬어야 한다. 사업 로드맵의 기조를 살리면서 부진한 부분은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는 데 인색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공약에 대해서는 분야별·사업별로 총정리해 지역주민 앞에 이행 현황과 실천 계획을 소상히 밝혀야 한다. 민선 8기가 변화와 도전의 발자취로 기록되도록 성과로 말할 시간이다. 장밋빛 청사진을 내놓을 시간은 아니나 필요하면 과제 도출에 주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도 완결의 고삐를 조여야 한다. 충청권 4개 시·도 지역 첫 국제 종합경기인 2027년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준비에 더욱 힘쓸 시기다. 여전히 무늬만 혁신도시로 남은 공공기관 이전 역시 결실을 봐야 한다. 또 기초자치단체별 브랜드를 강화하면서 정상 추진되지 못한 현안은 꼭 챙기기 바란다. 강조하지만 광역·기초단체, 지방의회 모두 구체적 성과로 답할 차례다. 4년 임기가 시작됐던 2년 전의 초심을 각인하며 알찬 후반기를 준비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