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교수. |
견리사의는 안중근 의사가 조선 침략의 원흉인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후 뤼순 감옥에 투옥돼 있을 때 남긴 글로도 유명하다. 안 의사는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 이익을 보거든 옳은 것인가를 생각하고 (국가가) 위태로운 것을 보면 목숨을 바쳐라'라는 유훈을 후손들에게 물려줬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어떠한가? '견리사의' 대신 '견리망의'를 좇는 정치인들과 고위직들이 너무도 많다. 현재 '채 해병 수사 외압 사건'과 '채 해병 특검법' 부결, 이태원 사건 등의 어수선한 정국을 바라보면서 어느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는 모습이 만연해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에는 책임지는 문화가 있었다. 비록 직접적인 책임이 없더라도 부하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상급자, 또는 책임자로서 도의적 책임을 지고 그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불문율이었던 것이다. 특히 군대에서는 비록 말단에서 벌어진 사건과 사고에 대해서도 그 부대의 최고 책임자가 보직 해임이 되고 승진을 하지 못 하는 것이 관례였다.
최근 '견리망의'의 이런 사례들을 너무도 많이 목격하게 되면서 무기력함을 느낀다. 나는 대학교의 교수로서 사회의 기득권을 쥐고 있는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젊은 학생들 보기가 너무도 민망하기 짝이 없다. 이런 사회 현상에 대해 찬반 토론을 할라치면 내 잘못이 아닌데도 학생들 앞에서 한숨만 나오게 된다.
'견리망의'의 사회 분위기는 140여 년 전 구한말의 시대상과 너무도 닮아 있다. 사회 지배층이었던 왕족들, 양반들과 관리들은 사리사욕을 채우는데 혈안이었고 백성들은 그 착취의 대상이었다. 자기 이익을 위해 의로움을 뒤로 했던 자들에게 배재학당의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는 교훈은 서로 상충하는 가치였다.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 이것은 1885년 설립된 배재학당의 교훈이었다.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 아펜젤러 목사는 구한말 정치, 경제, 사회의 타락상과 탐관오리들의 착취에 시달리는 민초들의 삶을 보면서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이 교훈을 성경의 마태복음 20장 26-28절에서 차용했다. 그는 왜 이런 교훈을 지었던 것일까? 바로 당대의 지배층들이 백성들을 섬기지 않았고 오히려 그들에 대한 착취가 극에 달해 나라가 기울고 있었기 때문이다.
변화의 희망이 보이지 않던 시절에 아펜젤러 선교사는 대학교육을 통해 사회 변혁을 시도했다. 그는 1895년 서재필 박사와 함께 독립신문을 편찬하고 협성회를 조직해 조선의 젊은 인재들에게 민주적인 토론의 장을 열어줬다. 이 협성토론회는 곧이어 독립협회와 만민토론회로 발전하여 자주독립, 자유민권, 자강개혁 등의 주제로 토론의 대중화와 다양화를 이끌었다. 결국 협성회장으로 토론회를 이끌던 이승만은 1898년 왕정 폐지와 공화국 수립을 도모하였다는 국가전복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게 됐다.
아펜젤러 선교사가 설립한 배재학당 대학부는 수많은 민족의 선각자를 배출했다. 당시 대표적인 배재학당 졸업생들은 초대 대통령인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박사를 비롯해 민족시인 소월 김정식, 사회운동가 신흥우 박사,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 의학의 선구자 오긍선 박사 등이다. 이들은 암울했던 시대에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는 배재학당의 교훈을 몸소 실천했던 인물들이었다.
대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은 학생들에게 특정한 학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교육의 목적은 특정 지식을 기반으로 사회 속의 유용한 인재로 배양하는 것이다. 대학은 교육을 통해서 사회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개선함으로 사회 시스템을 변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유용한 인재들을 배양해야 한다. 즉 '견리망의'보다는 '견리사의'를 실천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는 것이 대학교육의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김정태 배재대학교 글로벌자율융합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