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시범학교 실시를 막 거친 시작 단계라 미흡한 점은 있다. 그에 견줘서는 참여 학부모 94%가 만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올 만큼 반응이 괜찮다. 방과후 맞춤형 프로그램을 2시간 무료로 듣는 등의 다양한 이점도 살릴 수 있다. 늘봄지원실장 등의 인력 배치에 대해선 17개 시·도 교육감의 수렴된 의견을 듣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교육자원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이뤄진다면 좋겠다.
나아가 초등생 돌봄 문화가 지역사회 전체로 스며들어야 한다. 맞벌이 부부의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공간인 다함께돌봄센터 활성화는 그래서 대안이 된다. 지역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와 다함께돌봄센터 무상 임대 협약 체결이 유행처럼 번지는 건 좋은 징후다. 초등 저학년 대상의 돌봄 서비스를 위해 주민 공유 공동시설 일부를 무상 제공하는 방식이다. 단순히 장소 제공이 아닌 보살핌과 학습 양면에서 공공돌봄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바람직하다.
초등 돌봄에 사각지대는 없어야 한다. 방학 중에도 학교자율형과 거점형 늘봄 서비스를 가동하는 방안을 마련해 둬야 한다. 늘봄학교 강사 증가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방과후 학교 강사의 맞춤형 프로그램 수업 참여를 보장하면서 돌봄교실과 방과후 학교가 통합된 장점은 살려 나가야 한다.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가 늘봄학교다. 여기엔 늘 돌본다는 개념까지 섞여야 한다. 선의 하나에만 기댄다면 알차고 체계적이어야 할 돌봄 프로그램이 열매 맺지 못한다. 기대를 더 보태면 일·생활 균형(워라밸)을 넘어 저출생 해소에 도움 되는 돌봄 안전망으로 뿌리내리는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