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전경 |
도는 청정충남을 위한 HPAI·ASF·FMD비발생 유지를 목표로 동물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HPAI 철새에 의한 1단계농장 내 유입, 2단계농장간 확산 차단에 중점을 뒀고, ASF 발생지역, 매개체로부터 연결고리 차단, 위험시기별 맞춤관리를 추진했다. 또 FMD 백신접종을 통한 농가 주도 방역, 농장별 방어력 유지에 역점을 뒀다.
그 결과, ASF·FMD는 비발생을 달성했고, 이를 유지하고 있다.
경기·경북 등에서 ASF가 반복적 발생·확산 상황에도, 충남은 유입을 차단해 양돈생태계를 보호했다. 실제 2019년 이후 ASF로 인한 전국적인 피해액만 1710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충남은 '피해 zero'를 이어가고 있다.
FMD의 경우에는 철저한 백신접종 및 시군·농장 방역실태 중점관리로 비발생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 2016년 4월 이후 8년째 비발생을 유지하고 있고 2020∼2023년 4년 연속 양돈 '백신항체양성률' 전국 1위를 달성했다.
HPAI는 비발생을 달성하지는 못했으나, 20년 이후 최저 발생을 달성했고, 발생률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연도별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20∼21년(9건) → 21∼22년(12건) → 22∼23년(4건) → 23∼24년(3건)을 기록했다.
도의 이런 노력으로 농식품부 재난형 가축전염병관리 우수사례 특별평가에서 우수지자체 선정되기도 했다.
도는 임상증상 발현에 의한 농가 신고가 아닌 방역활동 과정의 예찰로 조기색출한 것이 확산 차단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도는 지난해 소 농장에 큰 타격을 줬던 소 럼피스킨병 확산 방지에도 큰 성과를 거뒀다.
서산 한우농가에서 국내 처음 발생됐던 럼피스킨 확산에 도는 촘촘한 방역체계를 가동, 발생 60일만에 종식시켰다. 국내 미발생 질병으로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빠른 초동대응을 통한 확산 방지에 노력한 결과다.
발생 위험도가 가장 높은 지리적 여건속에서도 안정적이고 신속한 초동대응을 통해 축산업 조기 정상화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도 관계자는 "가축전염성 질병을 철통같이 막아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은 어찌 보면 도의 당연한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확산 방지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도민들께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내포=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