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살았다'고 푸념하는 어르신 말이 무슨 뜻인지 예전엔 헤아리지 못했다. 실생활에서 조차, 수시로 모르는 것에 부닥뜨리다보니 나오는 자조 섞인 말 아니랴. 공부할수록 모르는 게 많아지듯, 나이 먹을수록 부족한 것이 많아진다. 변화가 따라가기조차 버겁게 느껴진다. 시간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옛 사람도 그러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우리 스스로 변화를 주도하는 것 아니랴. 그러면서 그를 낯설어한다. 예나 지금이나 시간의 흐름은 동일하다. 당대 사람이 느끼는 변화의 속도도 마찬가지 아니었을까? 다만 집단의식의 무게에 따라 대하는 태도에 경중이 있을 뿐이다.
김은신 작가의 <여러분이시여 기쁜 소식이 왔습니다>를 만났다. 2008년에 출판되었으니 꽤 오래된 책이다. 소홀하게 다뤄온, 19세기 말 경성시대부터 20세기 초 일제 강점기의 연예사이다. 급변하는 시대의 문화 충격이 실감나게 그려져 있다. 책 제목도 제2의 광무대 개관 공연 광고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읽으면서, 조사와 자료수집에 공들인 저자의 노고에 감사한 마음이 절로 일었다. 연예계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닐지라도 안목의 폭을 넓히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몇 가지만 소개한다.
타의에 의해 봉건사회가 해체되었지만, 우리 연예사에 획기적 변화가 휘몰아친다. 전통연희가 대중 상대의 연예로 바뀌는 과도기가 된 것이다. 관아에 묶여있던 악공, 기생들이 세상 밖으로 나온다. 일부에서만 즐기던 기예가 일반화되는 것이다.
조선시대엔 마당이나 판에서 공연했다. 실내 공연장이 만들어진다. 실체는 알 수 없으나, 있었다는 흔적이 보인다. 저자가 기사 등 많은 자료를 들춰 찾아냈다. 실내 공연장이 생긴다는 것은 매우 특별한 일이이요, 일대 사건이다. 그로부터 무대예술의 틀이 다져지고, 관람료, 출연료 같은 것이 발생한다. 드디어 1902년 국가가 세운 공연장이 등장한다. 수용인원은 500명 안팎이었으며,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행사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 '희대(戱臺)'라고 불렀다. 11월에 관리기관인 협률사(協律司)로부터 독립하며 협률사(協律社)가 되었다.
기생 또한 무대에 서게 된다. 기생하면, 무심히 잔치나 술자리에서 갖가지 기예와 풍류로 흥을 돋우는 정도로 생각했다. 실은 전문, 종합 예인이었으나 마음으로부터 홀대했던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음악은 물론 시서화도 익혔으며 사서삼경도 읽었다. 경성시대엔 전문적인 양성기관도 있었는데, 기생서재, 기생학교, 음악강습소, 권번으로 빠르게 바뀐다. 현대의 연예기획사와 비슷한 역할을 한 것이다. 1921년 평양기생학교의 규칙에 의하면 수업연한이 4년 이상이며, 수업과목도 조선어, 일본어, 기악, 성악, 무용, 조선 예법은 필수 과목이었고, 서화는 택1로 되어있다. 재봉, 서양춤 등 신문물을 교육한 곳도 있다. 대단한 인기와 수입이 많아지자 교육기관 역시 번성하였다. 권번마다 재학생이 수백 명씩에 이르렀다.
수준차가 있어, 분류하기도 했는데 일패는 왕실 행사에 참여하는 기생이요, 이패는 다시 문무백관을 상대하는 관기와 양반을 상대하는 민기로 나뉜다. 삼패는 평민을 상대로 하며 매춘도 병행했으나, 기예가 주였기 때문에 매춘이 전업인 유녀와는 다르다.
그에 따라 활동무대도 서로 달랐으나, 공연장, 요리집, 라디오, 유성기 등 폭넓게 대중과 만났다. 수준 높은 공연과 뛰어난 자태에 인기가 워낙 높다 보니 기생을 소개하는 『조선미인보감』이 만들어지기도 하였으며, 기생들이 잡지 「장한長恨」을 펴내기도 했다.
협률사에 이어 광무대와 단성사, 연흥사, 장안사 등 사설극장이 속속 문을 연다. 당시엔 무대에서 하는 모든 것을 연극이라 불렀다. 극이 공연되면 막이 바뀌는 사이가 있다. 그 막 사이에 흥미를 돋우기 위해 촌극이나 만담이 이루어졌다. 나중엔 막간의 연희물이 더 인기가 있어, 주객이 전도되기도 한다.
활동사진, 유성기판, 레코드판, 라디오가 나오면서 연예계 역시 지속적인 변화가 온다. 처음 보는 이상한 기기에 놀라, 음반이나 라디오에 출연하면 마이크에 혼이 빨려 들어가 수명이 단축된다고 거부하는 사람도 있었다 한다. 점차 일반화되면서 지금 이상의 대스타가 탄생되기도 한다. 박춘재, 신불출, 왕수복 같은 사람이다.
세상은 변하고 우리 역시 부단히 변한다. 변화를 창출해 간다. 우리가 읽는 과거의 변화가 신문화 창달에 일익이 되지 않으랴.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