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일 북-칼럼니스트 |
봄의 선물인 꽃들의 잔치마당, 오월은 '유난스럽게 많은 감사와 위로'의 무대 위에 배우로, 무대를 꾸미는 디자이너로, 관객으로 참여할 기회가 많았다. 무대의 소품으로는 꽃다발, 케이크, 현찰, 밝은 웃음 속의 악수 등 여러 갈래의 사물과 몸짓들이 활용되었다. 그래도 이 달의 무대를 살린 촌철활인(寸鐵活人)의 소품은 무심코 쓰던 '고마워, 고맙소, 고맙다'란 '말품'이었을 게다.
어버이 날 즈음에 고운 색 종이에 "할아버지 사랑해요! 고맙습니다"라고 쓴 작은 선물과 손 편지에 감동한 춘추자(春秋者)는 손자를 시내 향토서점에 데리고 나갔다. 진열대 위에서 그림책 위인전을 고른 손자를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공간에 앉혀두고, 인문학 섹션을 찾아가 '말에 구원을 받는다는 것'을 집어 들었다.
그 책 속엔 "많은 사람이 말을 포기하고 말을 계속 경시하면 세상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분명 의미라고는 없는 일만 일어날 것이다. 다음 세대에게 이런 세상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나를 도와주었던 말들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에 가장 가까운 일은 무엇일까? 아라이 유키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무차별적으로 살포되고 있는 파괴된 언어 속에서 사례를 찾아 말의 힘을 찾아내고 있었다.
말은 개인과 사회에 축척되어 가치관을 형성한다. 사회 유지의 책임은 말의 존엄성을 지키는데 있다. 존엄성을 잃어버린 말들이 사회 구성원간의 관계를 분리시켰다면 다시 회귀하는 통합의 과정은 말 찾기의 긴 여정에서 말의 힘을 키우는 일이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도 격려의 말은 있으며 타인을 위로하는 마음은 어떤 환경에서도 '말을 믿는 말'을 찾아내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짙은 녹색의 잎으로 세상을 채색한 이번 달은 특히 '분노와 혐오의 쉬운 듯 우아한 말잔치'가 풍성한 호국 보훈의 달이다. 신체·사회적 통증을 겪어내며 삶을 흔들어 버린 이들의 아픈 기억을 무엇으로 어떻게 위로하겠는가? 그래도 최선·최상의 방책은 "잘못했습니다. 용서해주십시오.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는 진정(眞情)성을 품어 안은 따뜻한 말의 힘이 아닐까.
물론 개인과 국가는 역사의 그늘에 묻히면 안 된다. 과거는 언제든지 맞닥뜨릴 현재와 미래다.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진실은 알려져야 한다. 모든 것을 말함으로써 상처는 치유하고 우리 삶의 현재와 미래를 역사 앞에 보장할 수 있다. 이것이 '파레사이(parrhesia)', 모든 걸 말하기다.
그러나 어떻게 모든 걸 말할 수 있을까? 입술에서 매끄럽게 흘러나오는 생소한 단어들은 무심한 듯 잊어버리자. 받아들이기에 이질적이며 정신을 들척이게 만드는 구절은 되받아 쳐내자. 사고의 전개가 고개를 끄덕여 줄 정도의 이해력을 내포하고 있는 문장은 소리 내어 낭송해 보자. 외마디 소리로 질러대거나, 꿈도 꾸지 못했던 온화하고 경이로운 화술로 속삭이는 언설(言舌)엔 침묵으로 엄혹하게 단죄해보자.
이제 '말 없음'표 신발을 장만해서 손자의 손을 잡고 서점을 찾아가 책을 읽거나 이십여 년 전 비행기사고로 명을 달리한 동기가 잠들어 있는 현충원을 찾아가 보자. 이는 삶의 열매를 찾아 말 씀씀이에 힘들어했던 어느 할아버지가 "말이 어떻게 행동이 될 것인지?" 되돌아보는 가늠자가 될 일이며, 말을 믿는 말을 찾는 자성(自省)의 길이 될 것이다. '뜨거운 얼음을 머금은 말'이 많이 떠돌아다닐 것 같은 6월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