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의 잠재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구역도. 사진=중도일보 DB. |
중도일보는 울산 태화강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 사례 조명을 통해 중앙녹지공간과 금강에 접목할 요소들을 찾아봤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가보니...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미래는
2. 죽음의 '6급수'에서 생명의 '1급수'로 탈바꿈한 태화강이 금강에 말하다
3. '순천만+태화강' 장점,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으로...사회적 합의 관건
세종시 중앙녹지공간 야경. 불빛의 중심지는 중앙공원 1단계다. 사진=이희택 기자. |
2030년 세종시 완성기까지 지방정원부터 국가정원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기본적으로 밟아야 하고, 2026년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성공 개최는 중요한 관문으로 남아 있다. 중앙·지방 할 것 없이 재정난에 직면한 상황에서 '예산안 확보'도 숙제로 남겨져 있고, 지역 기업과 기관·단체, 시민사회의 자발적 참여 인식 전환도 매우 중요해졌다.
그런 의미에서 세종시에 앞서 정원도시의 길을 걷고 있는 전남도(순천만)와 울산시(태화강)를 잘 벤치마킹할 필요성이 있다. 옥석을 고르고 구슬을 잘 꿸 수 있다면, 제3의 정원관광 도시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무엇보다 면적과 제반 인프라 면에서 잠재력이 순천만과 태화강 정원 못잖다.
세종시 중앙녹지공간은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7만 9494㎡ ▲세종호수공원 69만 5000㎡ ▲중앙공원 1단계(체육시설과 수목, 잔디광장) 52만 6000㎡ ▲중앙공원 2단계(현재 논과 금개구리 보전구역) 87만 5000㎡까지 정원 관련 부지 규모만 282만 5194㎡에 달한다. 인근 국립박물관단지(19만 9000㎡)와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63만 1000㎡)에다 전월산과 한국전통문화체험원, 광활한 금강 수변과 합강변까지 연결하면 면적은 365만 5194㎡ 플러스 알파에 이른다.
전남은 순천만 국가정원(92만 6000㎡)과 순천만 습지(100만㎡)를 합한 194만㎡, 울산은 태화강 국가정원 83만 5000㎡ 규모다.
더욱이 세종시는 국립세종수목원(65만㎡)이란 기본 정원 인프라를 확보해뒀다. 전통정원과 분재전시관, 어린이정원, 생활정원, 희귀특산식물 전시 온실, 단풍정원, 치산녹화원, 무궁화원, 치유정원, 후계목정원, 숲정원, 감각정원, 사계절꽃길 등의 공간 명칭이 이를 보여준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8만 8279㎡)도 세계 최대 규모로 3.6km 구간 개방을 이미 시작했다.
관건은 지방정원 및 국가정원 지정은 물론이고, 국제정원도시박람회의 주무대가 될 중앙공원에 어떤 '정원 콘텐츠'를 구현하느냐로 모아진다. 순천만과 태화강이 바로 이의 모델이 돼야 하는 배경이다.
▲순천의 '동문·서문·남문 도시 권역과 습지 권역별 정원'과 울산의 '6개 주제 20개 정원' ▲순천의 '동천'과 울산의 '태화강', 세종의 '금강' ▲순천의 '출렁다리와 물위의 수상정원, 수변 산책로, 맨발 걷기길, 차량·보행 교량, 보행 전용 꿈의다리', 울산의 '은하수 다리와 십리대밭교, 실개천, 맨발 걷기길, 보존형 삼호(생태)지구', 세종의 '이응다리와 중앙공원 2단계 금개구리 보전구역, 수목원의 청류지원' ▲순천의 '둔덕 형태의 전망 공간 3곳', 울산의 '태화강 전망대', 세종의 '도시전망대와 사계절 전시온실, 이응다리 전망대 3곳' ▲순천은 '동천의 인공보와 유람선'과 울산의 미래 '드래곤보트', 세종의 '친수 시설' ▲순천의 '스카이큐브(PRT)와 내부 셔틀', 울산의 '셔틀 관람차' 등이 오버랩 산물이자 벤치마킹 공간들로 다가온다.
세계적 정원 명소는 싱가포르의 '가든스바이더베이'의 경우, 중앙녹지공간의 1/3이 안되는 부지에 3만 200㎡ 규모의 화훼돔(온실정원)부터 200여 종 슈퍼트리, 클라우드 포레스트(인공 폭포), 50m 높이의 레스토랑 등의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금강 세종보 가동'과 '금강의 친수 인프라 강화', '중앙공원 2단계 부지 활용안'을 둘러싼 시민사회 이견을 더욱 좁혀 나가고, 그 안에서 최적의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과정도 세종시에게 던져진 핵심 과제로 다가온다.
시 관계자는 "순천만과 태화강, 가든스바이더베이뿐만 아니라 동네별 민간 정원 명소 등도 벤치마킹 대상"이라며 "2026년 박람회를 시작으로 장기적 안목으로 정원도시를 만들어간다면, 세종시의 또 다른 성장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시민사회단체는 세종보 가동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고, 환경부와 세종시는 6월 중으로 재가동을 예고하는 등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사진은 30일 세종보 인근에서 진행된 기자회견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
순천만 국가정원을 가로지르는 동천과 유람선. 사진=이희택 기자. |
순천만 국가정원 서문 입구. 사진=이희택 기자. |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
울산 태화강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