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자 분야는 후발 주자다. 관심과 투자가 늦어 다른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벌어진 편이다. 양자 큐비트의 생성과 얽힘전송 등 기초기술 차이는 좀 두드러진다. 지배적 기술이 세계 무대에 아직 출현하지 않은 점은 다행스럽다. 주도기관, 구성기관들이 한국형 양자 기술패권 시대를 주도할 수 있다는 근거다.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구축은 다양한 가능성을 남긴다. 대전에서 빠르게 리딩 기술을 확보해 선도도시가 되는 것도 그 가운데 하나다.
이번 선정은 전문적 위탁 제작(파운드리) 서비스 플랫폼 조성 자체로 끝나지 않는다. 양자기술의 산업 상태계 조성과 공정 개발, 전문 인력 양성까지 가자는 주문이기도 하다. 높은 수준의 공정 환경이 요구되는 양자기술은 과학을 넘어 산업으로 영역을 넓힌다.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주요 입지를 선점해야 한다. 지역 중소기업의 양자팹 활용과 창업 활동을 도울 대전테크노파크의 역할에도 기대를 건다.
양자팹 건립에 적잖은 지방비를 내놓는 대전은 양자통신·센서·컴퓨터와 같은 응용기술에 아낌없는 지원과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대전시는 양자산업 9개 핵심기관과 '대덕퀀텀밸리 조성 업무협약'을 했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기반으로 양자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가장 먼저 선보였다. 이제 양자역학의 '퀀텀 점프(Quantum Jump)' 개념처럼 가장 높은 궤도로 도약할 일이 남아 있다. 양자팹 선정이 대한민국 양자 과학기술은 물론 대전시의 '대덕 양자클러스터 조성' 청사진 실현의 분기점이 됐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