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공예 예술은 1950년대 학교에 부임한 임상묵(도자, 도안), 최종태(조각), 이종수(도자), 서울에서 활동하며 대전과의 교류를 해온 공주출신 김재석(도자), 보령출신 벼루공예가인 이창호(벼루공예) 등을 통해 시작된다. 그러나 이후 중심 작가들이 타 지역의 대학교수가 되는 등의 이유로 지역을 떠나면서 연계성을 갖지 못한 채 대전미술은 1970년대를 맞는다.
1970년대는 자생력을 갖춘 대전미술이 전개되는데 그 주요한 요소로는 각 대학에 조각, 공예를 전공으로 하는 학과신설과 충청남도미술전람회 개최를 뽑을 수 있다. 목원대와 숭전대(현 한남대) 미술교육과에 조소 전공이 신설되며 조각 분야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며, 충청남도미술전람회는 중앙 중심이 아닌 지역의 다양한 분야 작가들의 등용문이 됐다.
이어 1980년대는 미술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조각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펼쳐지는 시기로 본격적으로 대전지역 조각 분야의 특성을 정착시킨다. 1989년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전충남'이 아닌 '대전미술'의 독자적인 행보가 시작되는 것도 특기할만한 사항이다. 1990년대에 들어 조각 분야에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직할시 승격과 함께 도시가 팽창하고 신시가지가 조성되며 도시환경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며 연이어 건물이 들어서고 공원이 조성되어 미술장식품 그중에서도 조각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또 한남대와 배재대를 중심으로 목칠공예가 발전하며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난 실험정신이 배가된 작품들이 등장하며 대전미술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