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로봇, AI, 반도체와 같은 미래 산업 관련 실용 학문이 주류를 이끌고 있고, 인문학은 대학에서 철저히 배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문학 관련 전공자들은 취업의 기회가 극히 제한되고 있어 불안한 미래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상 인문학은 산업, 특히 첨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먹고살기도 힘든데 '인간다움'을 강조하는 인문학은 너무 한가한 주장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공학이나 기술에 인문학을 융합하였을 때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 것은 여러 사례에서 입증할 수 있습니다. IT 분야에 최고 업적을 남긴 스티브 잡스는 "자신의 사업에 아이디어와 영감을 준 것은 인문학이다"라고 주장하며, 구체적으로 영국의 시인이자 화가인 윌리엄 브레이크의 시였다고 했습니다. 스티브 잡스가 지적한 윌리엄 브레이크의 시는 '순수의 전조'라는 짧은 시인데 '한 알의 모래에서 세계를 보고 /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 그대 손바닥 안에 무한을 쥐고 / 한순간의 영원을 보라'입니다. 이렇게 '그대 손바닥 안에 무한을 쥐고'라는 문장에서 핸드폰을 연상하였으며, 실제로 그 안에 '무한'의 자료와 정보가 담겨 있잖아요.
빌 게이츠도 자신은 미켈란젤로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을 보면서 사업 구상을 하였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72페이지짜리 과학 노트를 345억 원에 구입했고, 미켈란젤로의 스케치 그림을 307억 원에 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시나 그림 한 편이 기업인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엄청난 산업 생산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인문학이 중요한 것입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미국 사회에서도 인문학 전공자들은 특별한 기술이 없어 구직에 힘들고 불완전 고용 상태가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랜달 스트로스 교수는 실리콘 밸리에 취업한 스탠퍼드 인문학 전공자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스탠퍼드 인문학 공부'라는 저서를 출판하였습니다.
이 책은 인문학 전공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에 성공했다는 기적의 신화를 쓴 것이 아니라 바로 인문학 전공으로 인해 특출함을 보여 성과를 많이 냈다는 논리입니다. 인문학 전공자들은 취업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그 관문을 통과하면 인문학을 공부하면서 배운 능력을 바탕으로 성공을 이뤄냈다는 것이지요. 특히 인문학에서는 방대한 자료를 읽고 핵심을 정리하는 능력이나 비판적 사고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변화무쌍한 미래에 대비하는 가장 중요한 무기를 습득한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대학연합회의 조사에 의하면, 고용주의 93퍼센트가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명확하게 소통하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입증하는 것이 학부 전공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해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산업 발전의 초석을 놓았다는 이병철 회장과 정주영 회장도 인문 고전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졌습니다. 대전은 국책 연구기관과 대학, 벤처기업이 밀집해 있는 제2의 실리콘밸리입니다. 여기에 있는 첨단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전공자들의 충원이 꼭 필요함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