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 국장 |
꿀벌을 주제로 상상력을 발휘한 소설에 불과하지만, 실제로 꿀벌의 집단 실종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2006년 이후 북미대륙과 유럽, 호주 등에서는 꿀벌이 4마리 중 1마리꼴로 종적을 감추고 있다고 하며 국내에서도 2021년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지면서 꿀벌군집 붕괴현상이 시작됐다. 인간이 재배하는 1500종의 작물 중 30%는 꿀벌이나 곤충의 가루받이가 필요하며,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의 70%가 꿀벌의 수정에 의존한다고 한다. 꿀벌이 사라져가면 그에 의존하던 식물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물다양성 위기를 가져오며, 인류 미래의 위기가 닥칠 수 있다.
생물다양성과학기구의 지구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내 인류가 직면할 위기는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의 실패, 자연재해와 기상이변,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의 붕괴 등이 대표적이다.
세계경제포럼은 2024년 기준, 세계 GDP의 절반 이상인 44조 달러(약 5경 9708조원)가 자연과 자연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세계은행은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가 붕괴하면 2030년까지 매년 글로벌 GDP가 2.7조 달러씩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생물다양성 보존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1992년 6월 5일 브라질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생물다양성협약을 체결했다. 2022년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 당사국총회에서는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해 전 세계 육상 및 해양 면적의 최소 30%를 보호지역으로 관리하고, 훼손된 생태계의 30% 복원을 공식적으로 천명했다.
또 최근 국제적으로 자연 자본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기업의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투자자에게 공개하도록 하는 '자연자본공시'제도가 곧 도입될 전망이다. 자연손실을 발생시키는 기업은 펀드사의 투자 철회, 수출입 규제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 생물다양성이 세계 경제와 무역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충남에서도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과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다.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와 습지현황조사 자료를 토대로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이 단절된 곳에 대한 생태축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장항국가습지복원 등 습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충남도 생물다양성전략'을 수립해 주요생물서식지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훼손된 자연환경복원 대상지를 목록화해 체계적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철새도래지인 서해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5월 22일은 UN이 정한'생물다양성의 날'이다. 인간과 지구의 모든 생물은 상호 의존적이며 생태계라는 틀 속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생물의 종이 사라지면 지구 생태계 균형이 무너지게 된다.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가치와 인식을 제고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근본적인 변화와 행동이 인류의 미래를 지키는 길임을 되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구상 충청남도 기후환경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