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찬 우송대 보건의료경영학과 교수 |
우울감 발생의 환경적 요인 중 가장 대표적인 지표인 스트레스 수준은 어떨까? 평소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사람의 비율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2023년 대전시민의 28.3%, 세종시민은 25.8%, 충남도민은 27.7%로 전국 중앙값인 25.7%에 비해 높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30~40대가 높으며, 남녀별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특히 세종시민의 2023년 정신건강 관련 지표는 전년도에 비해 크게 악화 됐다. 이것이 조사상의 부정확성 때문인지, 추세상의 악화인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관찰해야 할 사안이다.
정신건강의 악화는 대전 충청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이며, 세계적인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4.1명으로 OCED 국가 평균인 10.7명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세계 최고의 수준이다. 2022년에는 매일 35명이 자살하고 있는 셈이다.
올해 5월 7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 따르면, 14억의 중국인 중에서 중국에서 5400만 명이 우울증을 앓고 있고 4100만 명이 불안 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위기, 팬데믹 이후의 불규칙한 경제 회복, 불안정한 일자리 전망, 의료 및 교육 비용 증가로 인해 중국 중산층의 정신적 고통과 무력감이 증폭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충청도 사람들은 느긋하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 것 같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대전의 정신건강의학 전문가에게 물어봐도 대전시민의 정신건강 관련 지표가 나쁜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정신건강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에 의한 생화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이 노력해서 개선되는 요인도 있고, 개인이 어쩔 수 없는 요인도 있다.
개인으로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의 스트레스 정도는 10점이 최고일 때 어느 정도일까?'를 10점 척도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7점 이상으로 생각되면, 잠시 이를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음악 듣기, 산책하기 등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압력 주전자가 계속 열을 받으면 폭발하게 되듯. 중간에 김을 빼 주어야 한다.
대전발전연구원이 2015년 발간한 '대전 도시정체성 재정립 연구'에 따르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이북 5도 및 기타지역 출신이 각각 4분의 1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양한 출신 지역의 구성은 지역주민들의 상호 간의 신뢰를 높여야 하는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는 정신 건강 향상을 위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정신건강에 대한 투자는 공공보건, 인권,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전체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기여해 공공보건을 강화하고, 정신 건강 위기 집단에 대한 사회적 생활을 보장하며 낙인과 차별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정신 건강이 나빠지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사회적 관계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발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정신건강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다. 지역 주민들도 공동체 내에서 서로의 정신건강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근찬 우송대 보건의료경영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