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
최근 대전에서 퀴어 (성소수자) 축제가 예고되면서 주최 측과 이를 반대하는 대전시 및 학부모 등 시민단체와의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모양새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제주, 춘천 등지에서 빠르게는 2000년부터 열리고 있었고, 대전에서 올 하반기 예정으로 처음 추진되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에는 대구에서 경찰과 행정당국이 의견에 혼선을 빚으며 시내 한복판에서 공권력끼리 대치하는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퀴어(Queer, '이상한'을 뜻하는 단어)는 어원이 어떠하든 요즘엔 성소수자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 것 같다. 또 퀴어라는 단어 외에도 성적지향(어떤 성의 상대에게 끌리느냐)에 대한 개념을 다양한 갈래로 LGBT(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LGBTQ, LGBTQIA 등으로 확장시키며 표현되기도 한다. 성다수자에 대해서도 헤테로섹슈얼, 성정체성에 의문이 없는 대다수의 시스젠더(Cis-는 같은 쪽이라는 의미의 프랑스어 접두사) 같은 용어들로 표현하고 본인이 성 다수자임에도 소수자의 인권 차원에서 지지하는 사람을 일컬어 '연대하다' 뜻의 얼라이(Ally)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퀴어 축제의 주최 측에서는 성 소수자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는 기회로 만들고, 그들만의 축제가 아닌, 장애인과 이주민, 여성 등 사회에서 차별받고 혐오 받는 사람들이 연대하는 화합의 장이 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건강한가정만들기국민운동본부 등은 퀴어축제추진에 강력반대한다는 삭발식까지 진행했다. 대전시도 인간 존엄의 가치에 대해서는 인정한다는 태도는 보이나 지역 문제로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모양이다.
인간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다양한 여러 욕망들을 표출하며 서로 얽히면서 사회를 이끌기도 하고, 심대한 문제를 만들기도 한다. 일견, 우리 사회에서는 퀴어 축제와 같이 (앞서 심리학자가 해설했듯이 버거운 화두로서의) 성적 지향점에 대해서는 어떤 사회적 논의도 관대해 보이지 않는다. 그럼 과연 우리 사회가 정치나 경제, 문화적인 면에서는 사회적인 관용이라는 차원에서 관대할 수 있을까? 나와는 다른 의견을 가진 타인의 자유에 대해서는 충분히 존중하고 있을까? 최근의 총선 후에도대통령과 야당 대표를 둘러싼 여당과 야당의 정쟁이 특히나 두드러지는 정치에서도, 법정까지 가서 인용되었다 해도 타협점이 보이지 않는 정부와 의료계 갈등도 한치 양보할 틈이 없어 보인다. 각자의 유불리를 저울질하기 바빠, 정작 중요한 사안들을 잊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봐야 할 때다. 그 사이에 합리적 이타주의자인 우리 주위의 많은 얼라이(Ally)들은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연대하고 싶어 하고 수도권 집중, 필수지역의료, 출산율, 기후변화 등등 걱정이 태산일지도 모르겠다.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