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래 유성구청장. |
아랍에미리트(UAE)는 전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국가 중 하나이다. 연 강수량이 100mm도 안 될 만큼 물 부족이 심각하다. 그만큼 인공강우 프로젝트 추진도 활발해 매년 200건 넘는 실험이 진행된다. 지난 4월 두바이에서는 하루 새에 2년 치 강수량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인공강우 실험 때문이라는 추측과 오해를 받기도 했다. 인공강우는 구름 속에 요오드화은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의 구름씨를 뿌려 인위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국내에서도 기상청이 이달 초 공개실험을 진행하는 등 산불 예방을 목표로 인공강우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인공으로 비를 만들 정도로 과학기술은 진보했지만, 대형 산불을 원천 차단하고 조기 진화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실제 지난 10일 캐나다 서부에서 발생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수천 명이 대피했다. 피해 면적은 갈수록 불어나 석유생산 거점 도시까지 위협하고 미국 북서부 지역까지 대기질이 급격히 악화했다. 캐나다를 비롯해 미국, 호주, 유럽 일부 지역은 국가재난 수준의 대규모 산불이 매년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4월 강릉에서 산불이 발생해 축구장 면적의 530배에 이르는 산림이 소실되고 100개소가 넘는 주택·펜션 등이 전소됐다.
다행히 올해는 봄철 산불 피해가 적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봄철 산불조심 기간에 발생한 산불은 총 175건(58ha)으로 집계됐다. 산불 통계를 작성한 1986년 이후 두 번째로 피해가 적었다. 갈수록 산불이 대형화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비가 자주 내린 기상 여건과 산불 대응 기관의 노력,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더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첨단 장비 도입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 것도 산불 피해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ICT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감시 체계와 전국적으로 7,574대의 CCTV를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판단 및 조치가 가능했다.
유성구 역시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105일간 봄철 산불방지대책본부를 가동해 산불 예방과 대처에 총력전을 펼쳤다. 산불 취약지역에는 산불감시원 30명과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13명을 배치하고, 구청 내 26개 부서의 인력이 참여하는 산불 추진분담제를 시행했다. 산림 인접지의 영농 부산물 파쇄를 지원하고, 관행적 불법 소각 행위 근절을 위한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한 것도 주요했다. 이러한 노력과 구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이 기간 우리 구에서는 단 1건의 산불도 발생하지 않았다. 대전 전체에서도 이 기간 산불 발생은 1건(0.8ha)에 불과했다.
인공강우 기술은 진화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실험에서 서울의 약 1.5배 면적에 1.3mm의 비를 더 내리게 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인공강우의 '구름씨'가 산불과 가뭄, 대기오염 해결에 널리 활용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반면 이미 효과가 입증되고 상시 투입이 가능한 대비책이 있다. 산불을 비롯한 재난·재해에서 인재(人災)의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나부터 시작하는 작은 경각심이 사회 전체적으로 확산한다는 점에서 '안전씨'라고 불러도 좋을 것 같다. 봄철 산불 조심기간은 끝났다. 하지만 유성구의 안전씨 살포는 연중 내내 진행된다.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