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세트처럼 겉만 그럴듯한 건축물이 아닌 백제 숨결을 느끼게 한다는 전제에서다. 웅진과 사비 시대 185년간 백제사 중심지로서의 부여는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 고분군, 부여나성 등의 존재만으로 이미 지역 전체가 노천 박물관이다. 사비(부여)로 천도한 후 123년간 활발한 외교활동으로 고대문화를 꽃피운 백제문화, 나아가 기원전 18년에 건국돼 700년 동안 존속했던 고대 왕국의 결정판이어야 한다.
백제문화유산이 201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 자체로 훌륭한 문화수도 조건은 획득했다. 글로벌 축제로 성장하는 대백제전도 보다 생산적 구조로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사비에서 도약을 꿈꾸던 고대왕국의 허망함이 아니라 찬란하게 꽃피운 문화창조력이 발현돼야 목표에 근접한다. 덜 개발된 낙후함까지 문화수도 면모를 다지는 수단으로 쓴다는 발상이 때로는 필요하다. 기와 한 장 허투루 얹지 않고 표준 모델과 고증에 충실해야 함은 물론이다.
문화수도 백제는 고대 패권구도에서 동아시아 해상교류를 주도했다. 역사체험마을이 서는 구드래 일원은 동아시아 선진문물 교류 장소다. 구드래나루에서 일본에 건너가 기악과 춤으로 일본열도를 휩쓴 미마지(味摩之)의 바람까지도 낱낱이 담아야 할 역사 콘텐츠다. 신라문화 본산인 경주의 시행착오를 회피한 원조 K-컬처 백제미를 보고 싶다. 백제인의 정신이 깃든 진정성은 동아시아 문화수도의 핵심 요건이다. 그런 역사성을 갖춰야 사비 백제는 세계와 통(通)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