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시립미술관 제공 |
당시 참여 작가였던 수잔 더저스는 카메라로 야간의 하늘을 촬영한 후, 19세기 초의 포토그램 기법을 적용해 신비스럽고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관객이 고요히 우주 속 어딘가를 떠다니는 기분을 들게 했다.
이성자는 파랑, 노랑, 빨강 등 색면 위에 에어브러쉬로 우주 공간의 대기와 공간감을 표현했다. 단순화되고 추상화된 풍경은 번잡한 문제들로부터 초연해지고 담대하게 세상을 바라보게 한다. 스즈키 타로, 시치노 다이치는 각각 설치와 미디어라는 매체로 항구성과 영속성의 세계로서 우주로 인도하기도 했다. 특히 스즈키 타로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상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존재할 '바람'을 팬과 천, 빛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바람의 움직임과 그로 인한 형태의 변화에 주목하게 했다.
작품 중 로랑 그라소의 <염력>은 천천히 떠올랐다 내려 앉기를 반복하는 운석의 모습을 담은 영상과 아메리카에서 운석을 발견한 사람들의 사진을 함께 설치했다. 인간의 지식으로는 이해 할 수 없는 현상을 마주했을 때의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절묘하게 표현했다.
정연현과 인베이더는 각각 위트가 더해진 외계인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호기심과 이에 기반한 무한한 가능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특히 얼굴이 알려지지 않을 채 전 세계 곳곳에 외계인의 모습을 타일 모자이크로 설치하는 인베이더의 작업은 지금도 대전시립미술관과 원도심 주변에서 만나 볼 수 있다. 국내 유일의 '인베이더 서식지'로 알려지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