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진 교수. |
사물이란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물질적 실체이다. 라틴어에 어원을 둔 실체 'substance'는 바닥을 지지하고 있는 무엇이라는 뜻이다. 확장하면 세상의 근원이나 궁극적 본질, 현상 이면에 작동하는 본질을 뜻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인간에게 사물이 갖는 의미, 인간과 사물이 맺는 관계에 대한 인식을 결락하고 있다. 사물을 단지 물질적 대상으로만 과학적 분석 대상으로 여기는 편협이 자리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관계의 의미론적 공백을 채우는 데 집중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철학자 하이데거가 사물을 도구라는 영역으로 제한하고, 우리가 몸 들어 사는 세계를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도구 연관들이 맺는 의미의 그물망으로 본 관점과 연속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도구는 무언가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도구가 지시하는 쓸모들이 삶의 목적과 의미를 함축한다. 요컨대 사물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는 물질적 실체라는 의미를 넘어 인간과 삶의 의미를 포괄하는 '관계'의 매개물이라는 것이다.
가령 이 책에서 사물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 하나는 선글라스에 대한 것이다. 선글라스를 쓴 비키니 여성과 히잡을 둘러쓴 여성 가운데 누가 더 자신을 잘 숨긴 것일까? 여기에 덧붙여 가면무도회의 여성, 마스크나 검은 두건으로 얼굴을 가린 채 등장하는 영화나 소설의 주인공들, 탈레반 같은 정치적 반군까지도 추가할 수 있겠다. 이 질문에는 자기 은폐와 행동의 자유가 상관해 있다. 가면이나 두건 등으로 얼굴을 가린 주인공이 등장하는 이야기는 모두 자유의 문제를 지배 논리와 현실원칙을 넘어서려는 저항과 위반의 행동 심리학을 표상한다. 익명성이 부여될 때 강고한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규율과 질서와 금기에 대한 위반의 쾌감은 극대화되는 법이다.
뻔하지만 히잡을 둘러쓴 여성이 가장 잘 못 감추고 있다. 가장 많이 가렸지만, 그 가림은 종교적이며 금기적 느낌으로 위반의 쾌감이나 행동의 자유가 없어 보인다. 얼굴을 가린 가면 무도회의 여성은 은폐에 성공한 경우이다. 그것은 가면을 씀으로 허용되는 일탈과 위반의 자유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 가림은 쾌걸 조로, 반칙왕, 탈레반, 테러리스트들과 심리 기저를 같이 한다. 자기 은폐의 익명적 현상화는 정치적 저항, 또는 지배 질서에 대한 저항과 위반을 가능하게 한다.
선글라스를 쓴 비키니 여성은 숨김의 문제보다는 그녀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알 수 없다는 사실에 있다. 그녀의 시선이 어디를 향하는지 알 수 없음은 불쾌감과 위압감, 심지어는 묘한 공포감과 신비감까지 유발한다. 대체로 독재자들은 선글라스를 즐겨 쓰는데, 혹 이유가…. 그들은 자신의 눈을 검은 선글라스로 가림으로써 역설적으로 모든 걸 볼 수 있는 시선의 권능을 획득한다. 마치 신의 전지적 권능이 언제 어디서나 우리를 지켜볼 수 있는 무소부재성에서 비롯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 시선의 메커니즘이 권력이며, 전능한 억압은 획득된다.
김홍진 한남대 국어국문 창작학과 교수·문학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