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 소아외과 연희진 교수 |
복통의 동반 증상으로는 잦은 구토, 복부 팽만, 발열, 소변량 감소, 혈변, 체중 감소, 성장 장애, 수면 장애, 만성 설사 등이 있을 수 있고, 5세 이하이거나 14세 이상의 반복적인 복통일 때 기질적 원인에 의한 복통을 의심을 해 볼 수 있다.
만성 반복성 복통 외에 장염이나 식중독, 변비 등으로도 복통을 호소할 수 있다. 열이 복통보다 먼저 발생한 뒤 복통이 있는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배의 문제보다는 배 이외의 감염성 질환, 즉 폐렴, 편도선염, 중이염 등 흔한 질환 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복통이 선행되고 열이 난다면, 장의 염증성, 감염성 질환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가 많이 아파하면 병원을 찾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기 때에는 응급수술이 필요한 신호일 수 있어서 최대한 빨리 병원에 오는 것이 좋다. 1세 전후로 배가 몹시 아픈 것처럼 심하게 보채는 경우, 그리고 그 복통이 수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있는 경우, 붉은 딸기 잼 같은 변을 보는 경우에는 장중첩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구토의 강도가 높으면서 특히 금식 중에도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담즙이 섞인 연둣빛 구토는 장관 폐색 등 심각한 질환을 암시할 수 있다. 복통이 심해서 배에 손을 못 댈 정도로 아파하는 경우나 복부 타박 후에 심한 복통은 복막염 등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다. 복통의 위치가 복부의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호소하는 경우에도 대표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맹장염) 등 국소적인 복막염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고 과거에 복부 수술을 했던 아이라면 장 유착에 의한 장폐색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탈장은 소아외과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태아 시절, 7~8개월 정도에 고환이 복강에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고환이 내려온 길(초상돌기)이 잘 닫히지 않아서 생기는 질환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초상돌기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서 장이 들락날락할 정도로 길이 넓은 경우를 탈장, 그리고 복수가 찰 정도의 작은 길만 있어 음낭 주변에 물이 차는 경우를 음낭 수종이라고 한다. 이름은 다르지만 발생 기전이 같은 비슷한 질환이며 수술방법도 동일하다. 탈장은 남아에서 많으며 미숙아에서 특히 많다. 우측에서 호발하고, 10%에서는 양쪽 탈장으로 나타난다. 음낭수종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소실되는 경우도 있어서 1~2세까지 기다리기도 하지만, 탈장은 스스로 치유되지 않는 질환이므로 진단되면 바로 수술을 계획하게 된다.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괄약근을 유문이라고 하는데, 비후성 유문협착증은 이 유문이 비후되어 음식물이나 위액이 잘 내려가지 않는 질환이다. 발생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주로 생후 2~8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나며 남아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수유 후 1시간 안쪽으로 담즙이 섞이지 않은 구토를 하고 이 구토가 점점 뿜듯이 심해지고 잦아지며, 아기는 구토 이후에 다시 열심히 젖을 빨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유문의 비후는 초음파로 확인이 가능하며 구토로 인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먼저 교정한 후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장중첩증은 장관이 다른 장관 내부로 말려 들어가서 중첩되는 질환이다. 장중첩증도 남아에서 많고, 생후 2개월부터 2세까지에서 주로 발생한다. 담즙성 구토가 있을 수 있고, 딸기잼과 비슷한 혈성 점액성 변을 볼 수 있다. 일차성 장중첩증은 공기-식염수 정복술로 정복될 수 있지만 반복적으로 재발하거나 공기-식염수 정복술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 장이 중첩되면서 발생한 혈류 장애로 장이 손상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차성 장중첩증의 수술을 통해 장중첩증을 유발한 병변까지 제거해주어야 한다.
/연희진 건양대병원 소아외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