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대전의 한 공립특수학교 교사가 학생이 통학버스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사진=오현민 기자 |
13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대전 특수교육 과밀화가 심각한 상태에 달하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제공한 4월 기준, 최근 5년(2020~2024년) 유·초·중·고 특수교육 대상자 수는 2020년 3276명, 2021년 3273명, 2022년 3417명, 2023년 3541명, 2024년 3604명으로 늘었다.
특수 교육 대상자는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에 배치된다. 한 특수학급당 법정 수용인원은 유치원 4명, 초등·중학교 6명, 고등학교 7명이다.
저출산 여파로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특수교육 대상자는 매년 증가하면서 특수학급은 이미 법정 인원 한계치를 넘은 상태다.
특수학교의 경우 학급 과밀현상을 막기 위해 처음 인가받은 학급수에서 점차 늘려가면서 과대 학급 현상을 보인다.
법정 수용인원을 초과한 특수학급이 곳곳에서 나타나는 가운데 특수교사들은 과밀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예산과 공간 확보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법적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교육환경에 배치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고 있지만, 특수학교가 부족해 일반 학교 특수학급서 특수학교로 재배치를 원하는 학생·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과밀화 현장 일선에 있는 특수교사들의 피로감도 만만치 않다.
대전의 한 공립특수학교는 교사들의 휴식할 공간이 전무한 상태다. 추가 학급 개설로 교사들의 업무공간인 교무실조차 확보하지 못하면서 교사들은 출근부터 학생 하교 때까지 긴장과 불편의 연속이다.
학생들의 점심시간도 2회로 나눠 실시한다. 공간 협소로 배식·식사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교육과정 차질이 우려된다.
대전의 공립특수학교 대부분은 모든 학급이 법정 인원을 꽉 채우고 있어 교육과정 운영 때 학생 피로도가 높아지고 문제행동의 발현횟수가 많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이 감당해야 하는 학생과 학부모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특수학교는 학사일정,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일선 교사보다 학부모 의견이 주를 이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체력과 발달기에 적절한 수업 운영을 학교에 요청했지만 학부모 반대로 실시하지 못하는 웃지 못할 상황도 있다.
또 유명 연예인이 특수교사를 아동학대로 고소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학부모들의 부당한 녹음기 사용이 늘어나 특수학급 민원관련 부담도 커지는 상황이다.
교사와 학생·학부모가 상호 존중하고 배려하는 관계가 아닌 긴장 관계로 변하면서 교사들의 신경은 곤두서있다.
대전교육청은 특수교육 과밀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서남부 특수학교 건립을 계획했다.
하지만 부지선정부터 두 차례 고배를 마시며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처음 부지로 선정한 곳은 국가산단 후보지로 편입되면서 불발됐고 이후 두 번째로 선정한 부지는 초등학교 신설 등의 문제로 인해 거듭 연기되고 있다.
특수교육 과밀화에 대한 완화를 기대했던 특수교사·학생·학부모 모두 피로감을 느끼며 조속한 건립을 위한 방안 모색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 공립특수학교 A교사는 "교내 공간 부족으로 교실의 형태가 모두 제각각이고 교직원 휴식 장소가 없어 항상 긴장하며 지낸다"며 "높은 긴장감 속에 지내다 보니 교사들의 병가와 병조퇴 비율도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도 아이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특수교사로서 사명감과 자존감이 높아진다"며 "학생의 작은 성장을 보는 기쁨은 교사로서 삶을 성찰하게 하고 삶의 활력을 주는 비타민 같다"며 특수교사로서의 자긍심을 보였다.
대전 특수학급 B교사는 "학생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특수교육의 전문성으로 인해 학생들의 발달 속 의미있는 성과를 발견했을 때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사명감이 느껴진다"며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교육 권리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위해 서남부 특수학교가 조속히 건립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현민 기자
13일 대전의 한 공립특수학교 교사가 학생이 통학버스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사진=오현민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