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가 송민숙은 부산 금정산 동래 온천동서 출생해서 학춤의 날갯짓을 보며 자랐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음악이 나오면 춤을 추었다. 춤을 잘 춰서 동네에서도 인기 있는 스타였다. 그 귀여운 모습에 아버지가 무용학원에 보내주었다.
그녀는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악 일무이수자이다. 그것은 종묘에서 제례 지낼 때 추어지는 의식무이다. 우리 춤에는 크게 민속무용과 궁중무용으로 나눠지는 데, 정중동의 미학과 천인지 사상이 바탕이 되어있는 춤이다.
그녀는 <민속무용>으로는 승무, 살풀이, 산조춤, 시나위춤, 소고춤 등 다양한 춤을 공부했고 <궁중무용>은 일무, 춘앵전, 무산향을 비롯하여 다양한 궁중연희에 어우러지는 춤을 공부하고 무대에 섰다.
민속무용은 유년기에 부산문화재이신 김진홍 선생님께 승무, 살풀이, 기본무 등을 공부했다. 김온경 선생님께 산조춤을 공부했고, 김영숙 선생님과 인남순 선생님께 궁중무용을 공부했다.
다만, 우리 전통 춤이 정말 아름다운데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자신과는 상관없는 춤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우리 춤이 사랑받는 춤으로 거듭났으면 좋겠다고 소원 아닌 소원을 말했다.
그녀의 창작 춤 '죽비춤'은 한국창작무용으로 생의 찬미 의미가 있다. 그녀는 덤프트럭에 깔리는 대형 교통사고로 죽음 문턱까지 간적이 있다. 전신 마취 4번을 하고 수술하며 병원에서 슬픈 나날을 보내며 왜 죽지 않고 살았나, 라는 고민과 삶에 대해 반추하는 시간이 있었다.
하얀 병실에 누워 삶과 죽음을 생각하며 창작한 춤이 '죽비춤'이다. 죽비춤은 그녀 고유의 춤이다. 살아있음의 찬미이며 존재의 이유이기도 하다. 춤을 추어서 그녀의 삶이 다시 살아난 것이다. 생명력에 대해 고민하고 삶에 대한 자전적 성찰을 통해 죽비춤을 창작하였다. 그녀 만의 독특한 작품이다. 한국적선과 호흡에 현대적 감성을 살린 작품이다.
그녀는 말하곤 한다. "춤을 추면서 가장 보람 있는 일은 장애 아동과 보육원 아동들에게 무용을 수업할 수 있는 것이다." 라고. 그 당시의 불편함을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돌아볼 수 있는 역지사지의 심정을 이해하게 된 것일 테다.
모쪼록 이번 주말 송민숙의 '해설이 있는 우리 춤 이야기' <결>이 옥천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성황리에 막이 열리기를 기원한다.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