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보문산 문화동지점에서 새롭게 발견된 착굴 흔적과 바위 모습. 바위에 구멍을 낸 흔적과 평지가 조성된 바위 모습. (사진=임병안 기자) |
1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에 가까운 보문산 중턱에서 굴착 흔적을 여러 건 발견했다. 해당 지점은 1948년 항공 사진에서 보문산 높은 지점까지 임도가 개척되고, 길 끝에 모종의 공사 흔적이 보이는 곳으로 지금의 위성사진과 비교해 장소를 특정한 후 탐사했다. 여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해 흙과 낙엽으로 경사진 주변 지형과 달리 바위가 수직으로 노출된 장소를 발견했고, 해당 암반에서 최소 5개의 굴착흔을 찾았다. 하나는 바위에 구멍을 뚫은 자국인데 너비가 동전 크기였고, 나머지 네 개는 구멍을 낸 곳에 바위가 떨어져 반원형으로 깎인 표면이 드러난 형태다. 풍화작용 흔적으로는 여겨지지 않았고, 석탄을 캘 때 쓰이는 착암기로 구멍을 내어 바위를 깨트리고 남은 흔적으로 추정된다. 앞서 호동과 석교동의 일제강점기 방공호 추정 동굴 안에서도 동전 너비의 착암기 구멍이 발견되었고, 일부는 발파 때 쓰는 다이너마이트 화약 구멍으로도 추정된 바 있다. 또 흙이 무너져 토사로 입구가 막힌 경우도 있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지점도 동굴 조성작업이 이뤄져 실존하나 입구까지 토사 쌓인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평평한 앞마당에 꽤 넓게 펼쳐졌고, 임도가 연결돼 있으며 물을 마실 수 있는 샘터를 함께 발견했다. 차량이 통행할 너비의 임도는 남서쪽으로 200m쯤 이어지는데 석축으로 정성껏 쌓았으나, 산 아래로 이어지는 구간은 유실되었는지 보이지 않았다. 또 돌을 쌓아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은 오목한 샘터는 지금도 바닥이 촉촉하게 젖어 있고, 그 주변에는 둘레 3m 너비의 벚나무 3그루가 자라고 있다.
인근 주민들 탐문에서 이곳에 동굴이 존재했다는 증언이나 목격담은 수집되지 않았고, 채석장이 운영된 기억도 없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대전 몇 곳에 채석장 흔적은 남아 있는데 동구 세천체육공원 부지나 중구 침산동처럼 철도변이거나, 평지에서 멀지 않은 야산에 있었다.
1948년 보문산 항공사진에 산 중턱까지 개척된 임도와 공사 이뤄진 모습이 보인다. (사진=대전시청 공간정보포털) |
조건 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현장에 남은 흔적만으로는 방공호이었을지 채석장이었을지 판단하기 어려워 보인다"라며 "다만, 더 많은 방공호를 일제가 대전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체계적인 조사와 주민 증언이 계속 수집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