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시립미술관 제공 |
김홍주의 작품에는 그려진 부분과 그려지지 않은 (남겨진)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둘 간의 경계에서 어떤 의미가 발생되는가를 살핀다. 붓으로 그린 부분과 그리지 않은 부분의 병치를 통해 오히려 관람의 포인트를 흐리고 몰입을 방해하며 그림이란 무엇인가를 물은 것이다. 미디어 아티스트 김해민의 경계는 농담과 진담, 영상과 현실에 있다. 그는 영상 안쪽과 바깥쪽 현실을 넘나들면서 관객에게 진짜와 가짜는 한끝 차이라고 농담을 건다. 허풍선이의 농담 형식으로 말하지만, 말을 끝낸 후 입을 굳게 다른 심각한 얼굴을 마주한 관객은 그것이 진담이었음을 깨달으며 문제의식이 증폭된다. 임동식은 자연애와 자기애의 경계를 그린다. 자연은 임동식 작업의 한 축이며 그가 자연을 대하는 방식은 공감이다. 그가 자연애를 표현하는 방식은 자연과 자신이 마주하며 고개를 숙이는 것인데 이는 자연에 대한 사랑임과 동시에 자연과 공감을 이룰 수 있었던 스스로에 대한 사랑, 일종의 자기애이다. 정광호는 '비조각적 조각'이라 스스로의 작업을 칭하며 조각과 비조각의 경계를 고민하게 한다. 깎거나 덧붙여 입체를 만드는 것이 전통적 의미의 조각이라면 그의 작업은 '조각'이지만 작가가 화두로 삼는 개념은 '비조각'이다. 레디메이드 오브제를 전시장에 두어 사물의 기능을 상실한 미술작품으로 연출하기도 하고 전시가 끝난 후 일상으로 돌아가면 용도가 있는 사물임을 이야기하며 미술 매체의 개념과 실제 간의 경계와 접점에 물음을 던지는 것이다. 홍명섭은 다소 당혹스럽고 일반적이지 않은 언어를 작업에 부여한다. 시각적으로 보이는 작품들과 자신의 개념적 언어들을 병치하고 이를 통해 시각적 발견과 개념 언어 중 무엇인 먼저인지 그 경계가 '감상'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실험했다. 이 전시는 동시대 미술의 언어는 각기 다른 형태와 경계에 있지만, 그것은 동시대의 서사를 미학적 원형으로 설정하고 이를 새롭게 변용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기능을 모색하며 '꽃'을 피움을 시사했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