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찬 국립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먼저 경제와 고용 구조의 변화로 볼 때 과거보다 더 많은 여성, 노령 인력, 비정규직 인력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들이 산업 현장에서 차질 없이 일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의 지원이 필요하다. 새로운 작업환경구조, 작업에 필요한 숙련도, 새롭게 도입된 기술의 적용,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생산과 유통 등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첨단 기술과 지식 정보가 양적, 질적으로 다양해지면서 개인의 경력이 다양화되고 유연해지며,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열린 가상공간을 통하여 가상현실 사회와 분산 조직이 형성되는 고용구조, 직업구조의 특징이 주된 사회 변화이다.
현재의 글로벌 사회는 국가 간 경계가 무너지며 개방에 근거한 새로운 무역질서와 기술혁신에 따른 과학기술의 발달 등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가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생산하고 가공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함에 있어 기술의 숙련도는 필수적이다. 이에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화 기술의 디지털 시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서 평생교육은 가장 중요한 사회적 인프라로 등장했다. 평생교육은 일자리 변화와 직무 변화라는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일자리 자체가 변화할 경우에는 완전 재교육이 필요하고 일의 일부인 직무가 변화할 경우에는 부분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교교육의 보완 및 학습 주체의 변화로서 지식은 교육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 평생교육에 있어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이유도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주체성과 능동성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평생학습사회는 교사가 주도하는 학습을 넘어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고 조직하는 자율적 학습을 중시하는 사회이므로 학습자가 평생교육 학습의 주체로서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일의 형태도 인간 중심의 경영 또는 지식경영에 기반을 둠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업무나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회의 급변한 변하는 개인의 취향,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에 인기 있던 직종이 갑자기 사양 직종에 들어서며 새로운 직종이 인기를 얻는 등 직업 생명이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지속적인 지식기술의 창출과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 되고 있다. 더욱이 지식의 양적 증가도 한몫하고 있는데 급변하는 사회에서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폭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지식의 노후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디지털 시대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끝으로, 우리들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도 기본적인 노력은 경제적 문제나 복지, 문화생활 및 여가, 기타 교육 등 사회적 변화와 다변화되고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끊임없이 창의적 사고와 지식 창출로 인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여 이러한 지원 중 하나가 평생학습 교육이라 사료된다. 민병찬 국립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