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꽃을 그리자,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꽃을 그리자,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 승인 2024-04-2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양동길
간송미술관 소장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106.1 × 45.6cm, 지본 수묵담채>
올해는 유난히 봄꽃 소식이 많았던 것 같다. 정보망 덕도 있지만, 지자체마다 아름다운 마을 가꾸기에 열중한 탓이리라. 그것도 대규모여서 장관이었다. 매화, 벚꽃, 목련, 산수유, 개나리, 진달래, 철쭉은 물론 유채꽃, 수선화, 튜울립, 꽃 잔디, 자운영, 라일락, 모란 등이 눈에 많이 띄었다. 꽃 가꾸듯 우리 마음도 가꾸면 얼마나 좋을까? 너나없이 꽃이 되면 모두가 꽃동산에 사는 것이요, 꽃길을 걷는 것이 아니랴.

나무에 피우는 봄꽃은 대부분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이지만 보는 사람은 시심이 절로 솟는다. 시심뿐인가, 세상이 밝아진다. 번영, 사랑, 아름다움, 영화, 즐거움, 화려함, 좋은 일 등의 의미로 다가온다.

꽃에 굳이 등급이 있으랴만, 강희안은 <양화소록>에 화목9등품론을 썼다. 일품으로 소나무, 대나무, 매화, 연꽃을 들었다. 높고 뛰어난 운치와 절개 때문이라 한다. 모두 예술가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지극정성으로 보살피고 즐기며 선망의 대상으로 삼아, 자신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삶을 사유하였다. 그중 매화 하나 살펴보자.

매화는 사군자중 첫 번째요, 세한삼우 송죽매 중 하나이다. 엄동설한 이겨내고 피우는 불굴의 의지, 수수하면서도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 고난 속에서도 팔지 않는 맑은 향기가 흠모의 대상이요, 고아한 정신의 표상이다.



중국의 당나라 시인 맹호연(孟浩然, 689~740)은 녹문산에 숨어 살았는데, 이른 봄이면 눈 덮인 산으로 매화 찾아 나귀타고 다녔다. 이 장면이 '나귀 타고 작은 다리 건너면서 매화 시들까 나 홀로 탄식하네.' 시구와 함께 고사 인물도로 그려진다. 나귀를 타는 것에 대해 송나라 시인 구양수(歐陽脩, 1007 ~ 1072)는 시문 구상에 가장 좋기 때문이라 한다. 그가 주장하는 몰아의 경지에 이르는 세 가지 중 하나이다. 남은 두 가지는 누구나 경험했을 법한, 잠자리에 누웠을 때, 뒷간에 앉았을 때이다.

중국 송대의 은일 시인 임포(林逋, 967∼1028)는 매화로 아내, 학으로 아들, 시를 벗 삼아 즐기며 살았다. 박학다식하여 매처학자(梅妻鶴子)로 불린다. 세상의 영욕은 멀리하고 유유자적 살아간 고매한 인품 때문에 많은 사람이 찾았으며, 예술 대상이 된다.

조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역시 매화를 몹시 사랑했다. 매화 시 91수로 <매화시첩>을 만들었으며, 총 107수의 매화시가 전한다. 함부로 부르지 않고 '매형(梅兄)'이라거나 '매군(梅君)', '매선(梅仙)'이라 불렀다. 앉은 자세로 역책(易?: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마지막 남긴 말이 '매화에 물주라'는 것이었다. 도산 서원 앞에는 지금도 매화나무가 서있다.(박상진의 <우리 나무의 세계> 참조)

화가 조희룡(趙熙龍, 1789~1866) 역시 매화 사랑이 지극했다. 유작 중 가장 많은 것도 매화 그림이지만, 자신이 그린 매화병풍으로 방안을 꾸몄으며, 매화시가 새겨진 벼루와 먹을 사용했다. 매화 시 읊조리다가 목이 마르면 매화편차를 달여 먹었다. 자신의 거처 이름을 '매화백영루(梅花百詠樓)'라 짓고, '매수(梅?)'라는 호도 사용하였다. 좋은 종이와 먹이 있으면 가장 먼저 매화가 생각난다고 하였다. 매화일색이다. 귀양 기간에도 울적한 마음을 매화 그리는 것으로 달랬다. 당시로서는 장수한 편인데, 병골이었던 자신이 장수한 이유가 매화의 맑은 향기와 기운을 그리다보니, 몸까지 깨끗해졌기 때문이라 한다. 역관 오세창은 그의 모습을 '마치 학이 가을 구름 타고 훨훨 날아가듯 길을 걸어 다녔다'고 묘사하였다.

그는 추사 김정희의 문인으로 여항시사 '벽오사(碧梧社)'의 중심인물이다. 직업화가 이길 거부했으며, 추사의 묵란 정신과 서체를 본받으려 노력했다. 문사철 자세를 배웠다. 형사를 초월한 심의를 중시했다. 스스로 문인화가로 자처했으며, 애호가 역시 그의 작품을 많이 찾았다.

간송미술관 소장의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106.1 × 45.6cm, 지본 수묵담채>는 전하는 30여 점, 그의 매화 유작 중에서도 으뜸이다. 독특한 필치와 화풍이 주목을 끈다. 특이한 준법의 산 아래 백매가 흐드러지게 피어있고, 그 안에 서옥이 자리하고 있다. 둥근 창으로 서안 위 화병에 꽂힌 일지매에 집중하고 있는 사람 모습이 보인다. 상기한 임포의 고사가 떠오른다.

화면의 우측 중간에 제발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내용이 이렇다. "좀 먹은 속에서 묵은 그림을 얻었다. 바로 스무 해 전에 그린 「매화서옥도」였다. 그저 장난스러운 손놀림이나, 제법 기이함이 있고 연기에 그을려 거의 백년은 된 것 같으니 매화 그림이 이런데 하물며 사람이랴! 펴보고 나니 죽었던 친구를 다시 보는 느낌을 받는 것 같구나! 단노"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