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환 시각예술 작가. |
매년 10월이면 고양과 창동 레지던시를 시작으로 모든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다음년도 입주작가들을 모집하기 시작한다. 이제부터 작가들은 지원 서류와 인터뷰를 위한 치열한 싸움이 시작된다. 많은 작가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들은 경쟁률이 200대 1 이상이다. 그 한 명에 들기 위해 내가 일 년 동안 얼마나 작업을 열심히 했으며 또한 내년에는 얼마나 잘할 수 있을지 어필 하기 위해 지원서를 작성하고 단 몇 장의 사진만으로 나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짧지만, 임팩트 있는 10장 내외의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그러나 문제는 레지던시 프로그램 마다 서류의 양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만약 10군대를 지원한다면 10가지의 다른 서류를 작성해야 한다. 처음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신진 작가들은 아주 많은 시간, 아마도 몇 달을 지원서 작성에만 시간을 쏟을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신진 작가들에게는 이 프로그램의 문은 쉽게 열리지 않는다. 경험이 훨씬 많고 작업으로 이미 많이 알려진 작가들이 선정될 확률이 당연히 높을 수 밖에 없다. 이미 레지던시에 통달한 작가들은 각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바를 명확히 알고 이미 다수의 기관에서 훌륭히 프로그램을 수료한 이력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 있는 기관에서 레지던시를 모두 마치고 지도 아래로 래지던시를 내려오는 작가들도 있고 부산에서 시작해서 커리어를 쌓아서 서울에 위치한 레지던시 프로그램으로 올라가는 작가들도 있다. 이들은 1년씩 레지던시를 찾아 여정을 떠난다.
약 10년 전만 해도 모든 예술가들이 매년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지원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레지던시 입주작가라는 이름이 하나의 타이틀이 되기 시작하면서 대다수의 작가들이 (대체적으로 20대에서 40대 중반의 작가들을 이야기한다.) 레지던시에 입주하지 못하면 뒤쳐지고 누군가 나의 작업을 뽑아주지 않았다는 실패한 느낌을 받기 시작했다. 이것이 점차 하나의 서열화가 되어가고 있는 느낌이다. 특정 몇개의 레지던시에 입주하지 못하면 성공한 작가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서울, 경기도 그리고 광역시가 주관하는 레지던시에 입주 하지 못하면 다른 프로그램 참가한 작가들과의 만남에서 주눅이 들 때가 있다.
다른 나라의 아티스트 레지던시는 우리나라와 같이 지원이 많지는 않다. 단지 새로운 장소에서 다양한 작가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말고는 찾기 힘들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양한 지원으로 인해서 작가들의 작업 활동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말 대한민국의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세계 최고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엄청난 베네핏이 존재하면 그것을 받지 못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레지던시라는 베네핏을 얻기 위해 이렇게 많은 예술가들이 매년 경쟁의 레이스를 펼쳐야 하는 것이 옳은 일인가 생각하게 한다. 프로그램을 지원해 주는 문화재단 및 기관 그리고 지원하는 작가들도 이제는 레지던시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하는 시간이 다가오는 것 같다. 매년 많은 예술가들이 무작정 이번에는 어디로 가야 하는지 고민하기 전에 말이다.
고동환 시각예술 작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