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신흥동 근대화거리 가는 길에 이성당이 있다. 이성당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이다. 유명세 덕분에 대전 성심당 못지않게 휴일엔 사람들로 북적인다. 다행히 아침이라 번잡하진 않았다. 이것저것 빵 다섯 개를 사들고 나왔다. 순간 웃음이 쿡 나왔다. 멀리서 온 외지인들이 성심당 앞에서 줄을 지어 기다리다 빵을 사는 모습이 신기했는데, 나도 다르지 않았다. 이성당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이즈모야'라는 빵집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해방 후 한국인 이석우씨가 이즈모야를 불하받아 이성당으로 출발했다고. 이성당의 한자는 '李盛堂'으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번성하는 곳'이란 뜻이다. 성은 다르지만 현재 그 후손들이 4대째 운영하고 있으니 소원을 푼 셈이다.
신흥동 골목은 평일이어서 직박구리 소리만 요란할 뿐, 고요했다. 풍수에 문외한인 내가 봐도 이 곳은 좋은 터란 느낌이 든다. 그러니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자리잡고 살던 곳 아닌가. 식량 수탈의 쓰라린 역사의 도시 군산. 군산은 일본이 호남의 드넓은 평야에서 생산한 쌀을 본토로 가져가는 항구였다. 당시 일본인 대지주들은 조선인의 고혈을 쥐어짰다. 히로쓰 가옥은 그때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옆에서 귀동냥한 문화유산해설사의 말에 의하면 이 집을 짓는데 5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지금 봐도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이 간다. 유카타를 입고 다다미방에서 군산 앞바다에서 잡은 생선회와 조선 농민의 피땀이 밴 쌀밥을 먹는 히로쓰. 식민지 조선에서 부와 권력을 누린 일본인.
히로쓰 가옥에도 '일본식 정원'이 있다. 정원에서 히로쓰를 생각하며 콩알만한 치즈가 촘촘히 박힌 바게트를 잘근잘근 씹어먹었다. 서구인들은 일본문화를 숭배하는 경향이 있다. 타란티노의 '킬빌'은 일본영화에 대한 오마주로 가득하다. 롤랑 바르트는 일본을 방문하고 나서 일본을 찬양하는 <기호의 제국>을 썼다. 이성당의 시그니처 단팥빵은 일본에서 건너왔다. 메이지시대 중국의 바오쯔에 착안해 팥소를 넣은 바오쯔를 서구풍의 껍질 빵 형태로 만든 것이다. 크림빵, 건빵, 라면도 일본 태생이다. 건빵은 담백하고 바사삭 하는 식감이 좋아 즐겨 먹는다. 침략과 함께 들어오는 음식은 피해국민의 입맛에 빠르게 흡수된다. 도리 없다. 스팸과 커피도 전쟁이 전파했다. 설렁탕은 몽골침략과 함께 한반도에 들어왔다.
빵 다섯 개를 '순삭'했다. 그 중 나비파이는 시럽을 발라 달콤하고 사르르 녹았다. 하나 더 살걸. 잔소리대마왕 의사들은 밀가루와 설탕은 먹지 말라고 경고한다. 왜 자꾸 그들은 나를 죄책감에 빠지게 할까. 달디단 빵을 먹은지라 매콤한 게 당겼다. 뜨끈하고 얼큰한 순두부찌개는 언제나 진리다. 큰 투가리에 끓여 나온 순두부는 직접 만든 거란다. 매콤한 국물이 느글한 빵의 뒷맛을 없애줬다. 살짝 짠 게 옥에 티랄까. 개복숭아처럼 시디신 묵은지가 침샘 물꼬를 터사정없이 터뜨렸다. 어쩜 군내 없이 이렇게 깔끔할까. 이날은 하루종일 배가 빵빵해 속이 더부룩했다. 밥을 남겼어야 하는데. 만삭의 임신부가 이럴까. 아, 단짠의 세계는 녹록지 않았다. 익산역 라면은 먹지 못했다. <지방부장>
이성당 단팥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