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정희 차장 |
이렇듯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IT신기술은 이제 도시 분야에까지 확대되어, 이른바 스마트시티'가 세계적인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 삶의 터전을 지속가능하며 포용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환경오염과 이상기후, 저출산 및 고령화 등 종전에는 없던 도시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살기 좋은 도시란 무엇이며, 또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스마트시티 조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언뜻 최첨단기술을 활용한 효율성과 편의성, 생산성 향상 등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시티를 만들고 활용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도시철학과 가치가 배제된 채 고도로 발달하기만 한 기술은 언제든 조지오웰의 소설 1984에 등장하는 '빅브라더'처럼 사람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시티는 반드시 '사람중심'이라는 도시철학을 바탕으로, 시민들의 '행복 실현'을 최우선 가치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미래전략도시로 세종시 일원에 건설 중인 행복도시는 인구 50만의 명품 자족도시를 기반으로 실질적 행정수도이자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를 기치로 삼고 있다. 이 가운데 스마트시티의 경우, 2030년까지 3단계에 걸쳐 플랫폼·데이터·연결형·자율지능·시민참여형 등 5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스마트인프라가 조성 중이며, 현재는 도시통합정보센터·자가통신망 구축 등 1·2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지능형CCTV·초정밀버스정보시스템 등 시민체감형 서비스를 발굴하는 3단계 사업에 접어든 상태다.
스마트시티를 포함한 행복도시 건설을 총괄하고 있는 행복청은 신도심 격인 행복도시뿐만 아니라 세종시 전역을 대상으로 실효성 있는 추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세종시와 공동으로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실질적 행정수도의 위상에 걸맞은 '행복도시-세종형 스마트시티(이하 세종 스마트시티)'의 비전을 제시하고, 최종적으로는 스마트 도시기반시설 기준 마련과 국가시범도시 추진,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스마트서비스 발굴 등이 포함된 스마트도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세종 스마트시티의 역할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 도입의 실험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요자 중심의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 도시기능을 더욱 똑똑하게 진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영국의 경제분석 전문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오스트리아의 빈을 선정했다. 안전성과 의료, 문화 및 환경, 교육, 인프라 등 5개 분야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치안, 공공의료 및 헬스 케어, 재해·재난대응, 자연환경 및 역사·문화·여가시설, 공공 및 사설교육, 교통·통신·주택·에너지 등 기반시설 수준 등이 세부지표로 꼽혔다. 자연환경이나 역사 같은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스마트기술의 도입으로 발전가능성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분야들이다. 앞으로 세종 스마트시티가 누구나 살고 싶은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 충분한 이유다.
/엄정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