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 '융합'이 아니다. 지방 대도시 도심에 일자리(산업)와 삶(주거), 여가(상업·문화)가 집약된 매력 있는 성장거점을 키워야 한다. 법적·재정적 근거인 도심융합특구는 2년 남짓 입법 지연 사태를 겪었다. 관련 예산 삭감으로 예산 없는 도심융합특구라며 속을 태우기도 했다. 지방시대위원회에서 4대 특구 정책예산을 심의하면서 걱정은 일단락됐다.
법적 기반 완성으로 이제 연내 선도 사업지의 기본계획 승인이 가능할 전망이다. 고밀도의 혁신 공간을 만드는 데 속도를 낼 차례다. 도로와 주거, 산업, 문화 기반도 취약하지 않아야 한다. 청년이 유출되고 기업이 이탈하면 지역의 미래는 없다. 이는 지방 대도시가 산업구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과도 무관하지 않다. 비수도권 도시도 산업구조와 생태계 변화에 스스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대전역세권구역 등에 어떻게 산업·주거·상업·문화를 집약한 복합혁신공간을 만들지에 대한 유효한 답 하나가 여기서 나온다.
공공기관과 환승시설, 복합문화시설, 과학기술플랫폼은 물론 지역구 공약으로 거론된 핀테크·디지털금융 규제 프리존 지정도 검토해볼 가치가 있다. 도심융합특구의 모델은 네이버를 주축으로 하는 IT대기업과 대형 게임업체, 벤처기업 등이 입주해 있는 판교다. 비수도권판(版) 판교테크노밸리 그 이상의 상위 목표가 절실하다. 도심 내 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인프라 좋은 수도권으로 사람이 모이는 현상을 끊어내기 바란다. 도심융합특구 사업 정상화를 환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