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관점이라면 대전 중구과 유성을, 대덕, 충남 천안을 등 초선 타이틀을 거머쥔 사례에도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물론 다선 의원이 나오면 정치변방에서 중앙 정치인 등극에 아무래도 유리하다. 전체 비율로는 충청권에 다선 의원이 꼭 적은 것도 아니다. 지역 목소리를 중앙에 정확하고 당당히 전달하기엔 이 정도로도 족하다.
정치신인부터 중진의원까지 골고루 포진된 차기 구성은 오히려 장점이다. 또 그렇게 강화하면 된다. 재선급까지 범위를 넓히면 국회의장과 당 대표나 원내대표 그릇을 갖춘 잠재적인 후보군이 없지는 않다. 범야권이 192석을 석권한 가운데 다시 일당독점 구조가 형성된 대전도 정치력 극대화의 시험대에 오를 것이다. 제21대 대선 링에 오를 주자를 발굴하는 일 역시 정당 체계의 구조상 존재감이 약해진 충청 정치의 복원 방안 중 하나다. 협소한 이념 지형과 지역성에 갇히자는 의미가 아니다. 어느 지역에나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이야기다.
지역구 의원에겐 지역발전도 본연의 과제다. 지역 정체성을 갖고 중앙정치 지분을 넓히며 지역의 인프라 구축과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이 수렴하는 지점은 곧 지방자치이고 지역발전이다. 지금 당선인 신분인 차기 충청권 의원들이 당리당략을 걷어내고 관계 설정에 원만하다면 정치력 한계는 자력으로 극복된다. 진정한 소통과 화합으로 정치적 선호를 넘어선 지역민 지지 속에 영·충·호 시대의 입지를 넓혀갈 땐 정치 기반이 탄탄해진다. 지역에 필요한 정치력은 의석수와 몇 번째 당선인지의 선수(選數)에만 얽매이지는 않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