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현 교수 |
이 숫자는 스크린골프 업계 1위 골프존 앱의 실사용자 수가 260만명이고, 업계 2위인 프렌즈스크린 앱 실사용자 수는 116만명이라는(2023.8, Chosun Biz)통계를 보면, 중복가입자 수를 고려하더라도 신뢰할만한 수치다. 그렇다면 골프인구 400만명의 시대, 어떻게 볼 것인가? 실제로 우리 국민들은 시간에 여유가 있다면 하고 싶은 운동으로 수영(9.2%)을, 돈에 여유가 생기면 하고 싶은 운동으로 골프(16.2%)를 첫 순위로 각각 꼽았다. 한국골프산업백서(2022)에 따르면, 2022년 국내 골프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5조8540억원 가량 성장한 20조6690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여기서는 국내 골프인구를 602만명으로 제시했다.'한국 골프산업백서 2022'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골프장 이용 시장은 5조1200억원, 스크린골프 시장은 2조1865억원이었다.
파생시장 규모는 2020년 8조7360억 원에서 2022년 12조 313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2년 기준, 용품 시장이 파생시장의 81%인 9조9365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런데 골프인구 400만명 시대에 문화체육관광부에 불만이 있다. 많게는 600만명의 골프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데, 수십년간 축구장, 체육관, 수영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 수많은 생활체육시설 설치 지원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골프장 건립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골퍼들은 골프장 입장시에 그린피에 더하여 특별소비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및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1일 1회의 입장 행위에 대한 특소세액은 1만2000원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상한 요금 기준을 주중 18만8000원, 주말 24만7000원으로 정했다. 이 기준을 넘기지 않아야 '대중형' 골프장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넘기면 '비회원제' 골프장으로 구분하여 세금을 더 올린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A골프장은 최근 수년간 지속한 세금 인상과 물가 폭등, 인건비, 원자재비 등 클럽을 운영하기 위한 고정비가 증가해 그린피를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경기 성남시의 B골프장도 1일부터 주중은 25만원에서 26만원, 주말은 29만원에서 30만원으로 각각 1만원 인상했다.
결과적으로 골프는 치고 싶은데 국내 골프장 이용료는 너무 비싸다. 골프 시행령 개정안의 취지는 비회원제 골프장의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것이었는데, 다른 요금을 올려받거나, 이용객들에게 교묘하게 세금을 부담시키는 식으로 변칙 운용을 조장하는, 골프 시장 왜곡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골프 시장의 횡포에 약 3조 원에 달하는 골프 해외 관광 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해외관광객을 유치하려고 정책을 개발하고 각종 유인책과 예산을 쓰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당장 국내 골프장 더 만들고 저렴한 가격으로 운영하는 정책 실행하기 바란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