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충청은 길을 찾아야 한다. 당장 충청의 정치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지역발전과 직결하는 현안들의 추동력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5차례에 걸쳐 4·10 총선 이후 정국을 전망하고 당면한 과제를 짚어 충청정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본다. <편집자주>
① 입법권력 대재편, 요동치는 충청정국
② 충청 현안 골든타임 與野 협치가 절실
③ 변방의 충청정치, 이젠 주류로 도약할 때
④ 대화와 타협, 충청의 정치문화 개선 시급
⑤ 충청정치의 가능성과 과제, 전문가 제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다음날인 11일 더불어민주당 대전지역 국회의원 및 재보궐 선거 당선자들이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과 홍범도 장군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선거 이후 정국은 요동칠 수밖에 없다. 불어닥친 정권심판론을 피하지 못한 국민의힘으로선 대대적인 재편이 불가피하다. 이미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 일원과 한덕수 국무총리와 대통령실 참모들이 사의를 표명해 여권에서 선거 참패 후폭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민주당은 견고해진 '친명(친이재명)' 체제를 바탕으로 대여(對與) 투쟁에 나설 전망이다. 입법권력을 활용해 주요 법안과 예산 처리를 주도하는 등 여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 정국 주도권을 쥘 가능성이 높다. 8월에 열리는 전당대회도 권력 지형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
세대교체의 폭도 컸다. 이번 선거에서 21대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박병석 의원을 비롯해 4선 이상의 이상민, 변재일, 정우택, 정진석, 이명수, 홍문표 의원이 불출마 또는 선거 패배로 정치 일선에서 물러났다. 중진들이 퇴장한 자리는 현역과 새 인물들이 채우며 주류세력의 개편이 이뤄졌다.
우선 박범계(대전 서구을), 이종배(충주),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은 4선 고지에 올라 입지를 굳혔다. 3선 라인은 더 두터워졌다. 조승래(대전 유성갑), 강훈식(아산을), 성일종(서산·태안), 김종민(세종갑), 어기구(당진) 의원이 3선 중진 도약에 성공해 무게감을 키웠다.
장철민(대전 동구), 문진석(천안갑), 이정문(천안병), 장동혁(보령·서천), 엄태영(제천·단양), 임호선(증평·진천·음성) 의원은 재선에 성공했다. 박정현(대전 대덕), 황정아(대전 유성을) 당선인은 대전 첫 여성 국회의원 타이틀을 달았다. 기초단체장 출신인 장종태(대전 서구갑), 박용갑(대전 중구) 당선인도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이들의 헤게모니 쟁탈전은 치열할 전망이다. 지역 현안에는 서로 협력하겠지만, 충청 대표주자가 되기 위한 경쟁 레이스에는 양보가 없다. 마침 중진들이 퇴장하고 '충청맹주' 자리도 긴 시간 비어있었기에, 이들에게 기회의 문이 열린 것과 마찬가지다. 일부는 선거 과정에서 충청의 차세대 주자 도약을 비전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지방정부와의 관계 설정도 향후 정국을 뒤흔들 요인이다. 입법권력의 무게추가 민주당으로 기울었으나, 충청권 4개 시·도를 포함한 지방권력을 쥔 쪽은 여전히 국민의힘이다. 겉으론 지역발전에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면서도 2년 뒤 지방선거를 앞두고 양대 권력간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민주당은 벌써 이슈를 선점했다. 조승래 당선인이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면서다. 그는 11일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뒤 기자들과 만나 "철도 지하화, 대전교도소 이전 등 여야가 공약했던 내용을 정리하는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며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100% 선거용이었음을 자인하는 셈"이라고 했다.
다가오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도 정국의 핵이다. 선거까진 2년 넘게 남았지만, 다음 지방선거는 21대 대선 앞 마지막 길목 선거로서 시기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의미가 매우 높다. 당선인들은 물론 여야 정당과 출마 예정자들도 지방선거를 염두할 수밖에 없어 정국의 가변성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