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표심에 정치권이 노심초사하는 것은 역대 선거 결과 때문이다. 1992년 14대 대선 이후 충청에서 승리한 대선 후보는 모두 당선됐다. 충청을 '민심의 바로미터'라는 말이 합리적인 근거가 되는 결과다. 4년 전인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충청권 28개 의석 중 20석을 얻으며 선거에서 압승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앞다퉈 충청지역을 찾아 민심에 호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여야는 막판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며 총선 승패 계산에 골몰하고 있다. 전국 254개 지역구 가운데 초박빙 경합을 이루는 50여 곳이 승부처가 될 것이라는 데 여야의 의견이 일치한다. 충청권 28석 가운데 민주당은 10곳, 여당인 국민의힘은 14곳을 경합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한다. 초박빙 판세를 보이는 서울과 경기 남부 27개 지역구와 함께 충청권이 최대 승부처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총선은 여야가 막말 등 강성 지지층만을 의식한 '혐오의 정치'로 정작 민생 정책과 공약은 유권자의 기억에 희미하다. 좋은 정치 토양은 선거에 나선 정치인뿐만 아니라 주권자인 국민이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국가의 미래와 개인의 삶을 위해 옥석을 가려야 하는 책무가 유권자에게 있다. 정파적 적대감에 의한 선택은 대의 민주주의 작동을 훼손할 수 있다. 나라 안팎에 위기가 산적한 시기, 충청 유권자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선택은 더없이 귀중한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