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65세 이상 치매 환자 실종 건수는 2021년 266건, 2022년 329건, 2023년 331건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역에서 치매 환자 수 자체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 중앙치매센터 자료를 살펴본 결과, 대전의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 수는 2021년 2만 1313명, 2022년 2만 2499명, 2023년 2만 3767명이었다.
실제로 최근 들어 대전에서 치매 노인 실종 사례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2023년 2월 동구 판암 파출소에 80대 치매 노인 실종 신고가 들어와, 1시간 만에 인근 야산에서 구조된 바 있다. 10월에는 대덕구에서 길을 헤매던 같은 연령대의 치매 노인이 6시간을 헤매다 순찰 중이던 경찰에 의해 발견되기도 했다.
전국적으로도 치매 환자의 실종 건수는 2020년 1만 2272명에서 2023년 1만 467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치매 노인 실종이 점점 늘고 있어 지역의 대응책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치매 노인 실종을 막고 실종 시 빠른 대처가 필요하지만 현재 대전의 지원책은 GPS 배회감지기, 치매 환자 인식표 보급, 환자 지문인식등록 정도로 부족한 실정이다.
GPS 배회감지기 지원의 경우 2021년부터 보건복지부, 경찰청, SK하이닉스의 협약을 통해 진행 중인 무상보급사업이다. 손목시계 형태의 GPS 배회감지기를 자치구별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사업 시행연도는 올해까지다.
치매 환자가 손목시계를 착용해야 추적이 가능하지만 환자들이 착용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보호자가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울 경우 사용할 수가 없다는 애로사항도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도 GPS 배회감지기를 지원하고 있으나, 이는 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한정이다.
이에 대전시에서 지난해 자체적인 노인 GPS 배회감지기 도입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기도 했지만, 예산 반영을 하지 못했다.
대전경찰청도 치매 환자 실종 확인과 빠른 귀가 조치를 위해 환자 지문인식등록을 지원하나, 지문등록률은 지역 치매 환자 인구 대비 41.7%로 홍보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에게 치매 환자 실종 시 대처법 안내, 치매 서포터즈 등 민관 협력 역시 강조하고 있다.
박혜미 대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문등록의 경우 노인분들이 경도 치매 검사를 하러 왔을 때 미리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며 "대학생과 주민들이 치매 노인 구조에 동참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 사업, 치매 노인 실종 대처법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이 굉장히 중요하다. 치매관리체계의 핵심인 광역치매센터와 치매안심센터의 역할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