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찌개 국물만 짠 게 아니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찌개 국물만 짠 게 아니다

  • 승인 2024-03-27 09:37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326_173314604
풍미식당 김치찌개
대전 중구 예술가의 집 근처에 김치찌개로 유명한 식당이 있다. 김치찌개는 밥집의 기본 메뉴다. 흔하디 흔한 김치찌개. 하지만 내가 먹어본 김치찌개 중 이곳이 단연 으뜸이다. 나름 분석하자면 육수 때문인 것 같다. TV 프로 '생활의 달인'의 식당들은 하나같이 육수가 남다르다. 달인들은 짐작도 못하는 재료들을 육수로 사용한다. 심지어 찹쌀떡도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푹 끓인 육수를 쓰더란 말이다. 물론 시중엔 '사짜'들도 널렸다. 종종 사먹던 길거리 떡볶이집이 있는데 어묵국물에 말린 새우와 큼지막하게 썬 무가 둥둥 떠 있어 믿음이 갔다. 주인 아주머니도 강조했다. "우린 조미료 절대 안넣어요." 그런데 어느날 지나다가 못볼 걸 보고야 말았다. 손님이 없는 틈을 타 갈색 조미료를 수저로 푹푹 퍼넣는 게 아닌가. 그 뒤론 여엉.

3월 초 후배와 김치찌개를 먹었다. 후배한테 수제 돈가스, 김치찌개, 황태탕 중 먹고 싶은 걸 고르랬더니 김치찌개를 찍었다. 어라? 돈가스를 예상했는데. 나의 선입견이 보기좋게 뭉개졌다. 회사를 그만둔 후배는 얼굴이 환했다. 얘가 이렇게 하얬나 생각할 정도로. 역시 식당은 손님들로 바글바글했다. 찌개에서 올라오는 뜨거운 김으로 식당 안이 뿌옜다. 김치찌개를 주문하면서 라면사리도 추가했다. 큼지막한 고깃덩이와 김치가 수북했다. 가위로 고기와 김치를 숭덩숭덩 자르며 침을 삼켰다. 한참 끓인 후 후배 접시에 듬뿍 담아 건넸다. 그간의 일상을 묻자 아침에 눈을 뜨면 기분이 좋고 몸이 가볍단다. 지난 시간의 힘들었던 과정을 말할 땐 눈에 이슬이 비쳤다. 사실 사회생활 하면서 힘들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일은 둘째고 사람들과 부대끼며 생기는 갈등이 가장 큰 요인이다.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이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옛날 옛적 한 아이는 학교 가기를 죽기보다 싫어했지. 학교는 그 아이에겐 감옥이었어. 어떡하면 학교에 안 갈 수 있을까 궁리만 하면서 다녔어. 학교는 이거 하지 마라, 저거 하지 마라 왜그렇게 하지 말라는 게 많은지. 하라는 건 공부밖에 없었어. 선생님들 손엔 항상 몽둥이가 들려 있었지. 1980년 중2 때였어. 어느날 수업 끝나는 종이 울리자마자 아이는 친구가 준 껌 반쪽을 씹었는데 그걸 선생이 보았어. "우난순! 정화위원회에 올라가." 아이는 얼른 껌을 뱉었어. 사회정화위원회. 마석도의 강적 주성철보다 더 악랄하고 비열한 전두환이 사회질서 기강 차원에서 만들었어. 껌좀 씹었다고 선생이 겁박하다니. 전두환이 지은 죄가 있어서 불안한거야. 그래서 공포분위기를 조성한거지. 그땐 교화시킨다는 명목으로 별의별 이유를 들이대 삼청교육대로 끌어가던 시대였으니까.

각설하고. 기성세대와 달리 MZ세대는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다. 거창한 성공보다는 자기만의 가치있는 삶을 추구한다. 허나 한국의 직장문화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한 탓에 MZ세대로선 경직된 분위기를 힘들어 한다. 기성세대는 이런 세대가 자기중심적이라고 한탄한다. 동질성과 위계가 강조되는 한국의 조직문화는 다름을 인정하는데 인색하다. MZ세대에게 일사불란한 카드섹션은 이젠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 우리는 코에 땀이 배도록 맛나게 먹었다. 꼬들또들한 라면사리도 후루룩 후루룩 건져먹고 얼큰하고 뜨거운 국물을 호호 불면서 떠먹었다. 밥에 국물을 넣어 썩썩 비벼먹는 후배가 털털해 보였다. 나와 후배는 밥공기를 깨끗이 비웠다. 후배가 말했다. "회사를 그만두기까지 고민이 많았어요. 당장 경제적인 문제 같은 거요. 그런데 막상 닥치니까 어떻게든 살아지더라고요." 시인 함민복은 '눈물은 왜 짠가'라고 물었다. 인생은 달콤한 눈물도 맛보지만 찌개국물처럼 맵고 짭조름한 눈물을 더 흘린다. 성장통을 겪는 후배의 건투를 빈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