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
이미지란 오랜 시간을 두고 서서히 형성되며, 유·무형의 모든 요소가 투영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는 물론 미래가 투영되고 땅과 사람,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인문지리와 과학기술, 그리고 종교가 투영되어 복합적인 것일뿐더러 한번 고착된 이미지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옥스퍼드 사전에서는 '직·간접 지각이 아닌, 기억 또는 심상에 의한 정신적 표상(representation) 즉, 마음속의 그림 또는 인상, 대중의 마음에 형성된 인상'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대전시는 오랫동안 '교통의 도시', '과학의 도시'를 표방해왔다. 그러나 얼마 전부터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얻은 대전의 빵집으로 관심을 가지면서 대전방문 시 빵을 사가야 하는 이미지가 각인되었다.
대전에서 빵과 함께 추가로 할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를 고민했지만, 그 해답을 찾지 못하면서 결국 노잼도시라는 이미지도 얻게 됐다.
대전시가 아무리 교통의 도시, 과학의 도시라고 외쳐본들 대전의 이미지는 2030세대에게는 빵사면 할 게 없는 노잼도시 이미지로 각인이 되었다. 이제 대전의 도시 이미지를 바꿔 빵과 함께 즐길 수 있고, 노잼이 아닌 긍정적 이미지를 살릴 수 있는 신규 이미지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 도시' 이미지 전략을 제안해 본다.
얼마 전 프로야구 개막을 앞두고 국내 최초 메이저리그 개막전 경기가 한국에서 개최되었다. 야구의 열기는 코로나 이후 지속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특히 2023년 서울의 연고이면서 국내 많은 팬층을 보유하고 있는 LG팀의 우승은 전국적인 관심이 되었다. 올해 가장 큰 이슈는 메이저리거 류현진 선수의 한화이글스 이적이다. 이로 인해 시범경기의 매진, 암표 등장 등 화젯거리를 몰고 다녔다. 특히 한화를 연고로 하는 대전시민 팬들은 한화의 성적과 관계없이 '보살팬'이라는 애칭도 얻고 있다. 한화의 승패와 관계없이 꾸준히 진심 어린 응원을 보내주는 팬층으로 각인되고 있다.
대전시가 인식되길 원하는 이미지가 아니라 다른 지역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전시의 이미지는 어떨까? 국민은 대전시와 연상되는 어떠한 이미지를 가장 먼저 떠 올릴까? 그 가운데 대전의 야구 관람 문화와 야구가 한몫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전에는 승패와 관계없이 진정으로 야구를 즐기는 시민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전은 진정한 스포츠 도시"이다. 라는 이미지를 통해 대전의 새로운 이미지화 전략을 제안해 본다. 야구뿐 만이 아니다. 대전의 프로축구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된 뒤 몇 년 동안의 노력 끝에 1부리그로 승격되어 축구 또한 앞으로 많은 팬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스포츠 자원이다.
스포츠 도시를 이미지 전략으로 세우는 것이 단순한 도시의 이미지를 재정립하자는 의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포츠 경기, 그리고 이를 관람하는 것은 타지역 방문객을 유입시키고 지역 내 상권의 활성화와 지역내 소비를 통해 부가가치 창출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산업의 발전과 함께 관련 인프라의 육성으로 관련 기업의 유치와 일자리 창출은 부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이자 성과일 수 있다.
스포츠마케팅은 경제, 경영, 홍보, 스포츠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분야이다. 스포츠는 긍정적인 힘을 갖고 있으며, 대회, 경기 등은 타지역 방문객을 유입시키는 효과와 경기에 따라 의무적으로 숙박을 유도하는 매력적 관광상품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아무리 교통과 과학을 얘기한다고 해서 그러한 이미지로 각인되는 것이 아니다. 교통과 과학은 산업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문화적 관점의 신규 이미지 전략이 필요하다. 이미지란 연결고리가 만들어지고, 누구나 인정될 수 있는 이미지가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빵과 함께 칼국수를 먹으며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도시, 이제 돈 안되는 이미지 말고 대전시민에게 실질적,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도시 이미지로 익사이팅하고 활력이 넘치는 스포츠 도시 대전 이미지로의 대전환 전략이 필요하다.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