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세는 자신의 정책이나 소속 집단의 주장을 선전하며 대중에게 호소하는 것이다. 유세의 역사는 아주 깊다. 익히 알고 있는 중국 주나라 강상(강태공)과 무왕이 나눈 대화가 시초라는 주장도 있다. 역사시대 이전이라 확언하기 어렵지만, 강상은 문왕에게 유세하여 그의 신하가 되었다. 은나라를 멸망시킨 주나라 건국주역으로 제나라 제후에 임명 된다.
흔히 알고 있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도 모두 유세객이다. 공자는 후대에 끼친 엄청난 영향력에 비해 생애 자체는 보잘 것이 없다. 노나라에서 20전후에는 창고지기, 가축사육장 관리였다. 40대 후반에야 제대로 된 벼슬길에 올라 50대 초반 대사구에 이른다. 그나마 수년에 불과하다. 이상을 펼치기 위해 56세부터 12년여 제자들과 함께 다른 나라 떠돌며 유세한다. 아무 곳에서도 받아주지 않는다. 유세 도중 봉변당하기도 하고 제자들과 고난에 처하기도 한다. 정의와 신념에 불타 행동하는 양심만 남겼다.
합종연횡의 소진과 장의도 각각 유세하였다. 소진은 먼저 쇠잔해진 주나라를 찾았으나 현왕을 만나지도 못한다. 진나라 혜문왕 역시 소진의 유세에 흥미가 없다. 조나라에서도 등용해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연나라에 찾아가 천하통일 계책으로 유세하였다. 합종책이다. 문후가 받아들여 재상으로 등용한다. 다시 순회하며 유세하여 6국이 동맹하였으며, 소진은 6국의 재상이 된다. 이로서 진나라의 동쪽 진출이 15년이나 막혔다.
장의는 진나라에 유세하여 진의 재상이 되었다. 6국이 일시적으로 동맹하였으나, 모든 나라의 궁극적 목적이 중원 패권차지에 있음을 간파하고, 이간계로 합종을 깬다. 진나라와 각각 동맹하도록 유도하여 연횡하게 한다.
시인묵객도 마찬가지다. 은일로 일관한 사람은 예외이나, 출사한 사람은 시로서 유세하였다. 이백은 고관이었던 하지장에게 유세하여 당 현종을 알현한다. 현종에게 인정받아 한림공봉에 임명된다. 이백이 관리보다 시적재능을 펼쳐주길 바란 탓에, 유명무실한 한직에 불과했다. 조정에 나가 자신의 포부를 마음껏 펼치고 싶었던 이백에겐 실망이 컸다. 술로서 소일하다보니 권세가들과 마찰이 잦았다. 결국 버티지 못하고 유랑 길에 오른다.
두보는 명문가 후손이다. 출사하여 집안 위상을 높이겠다는 공명심이 남달랐다. 학문과 시, 모두 출중하였으나 명망가들에게 그의 유세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치열한 삶을 통하여 겨우겨우 출사하게 되나, 안녹산의 난으로 임명장만 받고 그마저 좌절된다. 때문인지 황실에 대한 충정내용이 있는가 하면, 제도적 불합리 타파, 민중 구제에 대한 시가 많이 전한다.
유세 내용에 대해 언급하려다 너스레가 길었다. 과거의 유세는 당연히 자신이 속한 조직의 번영과 안녕에 있다. 어떻게 나라와 사회에 기여할 것인가, 자신의 철학과 정책, 소신을 알리는 것이다. 오늘날은 어떤가? 국민에게 남의 악담, 험담, 저주만 늘어놓는다. 그것은 유세가 아니다. 그에 놀아나는 것은 또 무엇인가?
유세는 말하는 것만 의미하지 않는다.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말 하나 더 살피자. 공자가 자신을 뒤돌아보며 한 말이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고, 서른에 서게 되었다. 사십에 미혹되지 않았고, 오십에 하늘의 뜻을 알게 되었다. 육십에 귀가 순해지고, 칠십에는 하고자 하는 바대로 마음 따라 해도 법도에 거스르지 않았다." 소박한듯하면서도 때에 따라 무엇을 해야 하는지 조근조근 일러주고 있다.
육십에 '이순(耳順)'이라는 말이 나온다. 귀에 거슬리는 것이 없다, 경청한다는 말이다. 말하기보다 듣기가 먼저다. 한자 '성(聖)'을 파자해 보라. 잘 듣고 말하는 자는 왕의 위에 있다. 곧 성인의 경지다. 아는 만큼 들리기 때문이다. 이청득심(以聽得心)이라하지 않는가? 잘 들어주어야 남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유권자 표를 얻는 최고의 지혜다.
필자 또한 민심이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 귀에 거슬리는 것이 많은 것은 공부와 수양이 부족한 탓이리라.
양동길/시인,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