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 경우에서 보듯이 농축산업에서 84.3%를 차지해 폐기물이나 산업 공정, 에너지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압도한다. 벼 재배 38%, 소 장내 발효 26%, 가축분뇨 20%, 매립 9%, 하·폐수·분뇨 3% 등의 분류는 일반의 상식을 깬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8배의 강력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장내발효 부문 배출량의 90.6%는 소에서 나온다. 소 4마리 메탄가스는 차량 1대의 배기가스와 맞먹는다. 벼 재배 과정이나 소의 트림까지 관리해야 하는 시대다.
2021년 글로벌 메탄 서약에 가입한 우리로서는 농업 부문 메탄 감축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질소질 비료 사용을 줄이고 가축 분뇨는 집적화·에너지화해야 한다. 저탄소 영농기술, 가령 스마트팜처럼 에너지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농법을 늘려야 할 또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탄소국경세 제도가 활성화되면 탄소 저감 노력이 미약한 지역 농산품은 수출길조차 차단된다. 저메탄 사료 공급 등 사육과정 개선은 지체 없이 착수해야 한다.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의 특징 하나는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오르면 북극이 녹고 메탄가스가 동토층에서 분출된다. 그때는 이미 메탄을 줄이는 노력은 무의미하다. 메탄 포집 활용 계획은 기술적 문제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축산단지 집적화, 환경기초시설 메탄 활용, 분산형 수소 연료전지발전 도입 등 다양한 현안과 맞물린다. 불확실한 기술보다 입증된 재생에너지 등 저렴한 기술을 기반으로 당장 가능한 일도 더 많이 해야 한다. 6년 후까지 35% 목표를 달성하려면 지금 시범사업이나 펼치고 있기에는 다소 늦은 듯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